배우 유연석을 둘러싼 인성 논란이 재점화됐다. 유연석이 아파트 경비원을 모욕했다는 주장을 한 당사자가 "질투심에 글을 작성했다"고 사과하며 일단락 되는 것 같았던 이번 논란은 글 작성자가 "사과 글은 내가 쓴 게 아니다"고 나서면서 진실 공방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유연석 인성에 관해 언급한 글쓴이는 22일 해당 게시물에 "글쓴이라는 분이 질투심에 글을 올렸다, 주작이다, 사과했다는데 유연석씨 팬분인지 누군지는 모르겠으나 사과글은 내가 쓴 게 아니다"라는 내용을 추가했다. 그러면서 "아버지께 들은 얘기 만을 말했을 뿐"이라며 "쓰다 보니 너무 감정에 치우쳐 쓰게 된 것은 인정한다"고 덧붙였다. "아버지가 유연석씨 때문에 경비원을 그만둔 건 아닐 것"이라고도 했다. 다만 "돈을 바라고 쓴 게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연예인 실명을 거론하면 이렇게 일이 커질 줄 몰랐다. 솔직히 조금 무섭다. 죄송하다. 더 이상 일이 커지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유연석 인성 논란은 전날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배우 유연석님의 인성은 사람 바이 사람인가 봅니다'라는 글에서 시작됐다. 아버지가 유연석이 사는 아파트 경비원으로 일했는데 유연석이 아버지를 모욕했다는 내용을 담은 글이었다. 아버지가 유연석에게 "'여기 앞에 있는 자전거 유연석씨 것인가요?'라며 웃으며 말했는데, 유연석이 삿대질을 하며 '내가 저런 그지 같은 자전거를 탄다고? 저게 내꺼라고?'라며 비웃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손가락을 두 번 까딱이더니 '쯧쯧' 혀를 차고, 친구 무리들에게 '무시하고 가자'고 했다. 아버지를 위 아래로 훑어보고는 낄낄 거리며 비웃었다고 하더라"면서 "아버지는 수치심과 모멸감에 일을 그만뒀다"고 덧붙였다. 이에 유연석 소속사 킹콩 by 스타쉽은 "사실 무근"이라며 고소하겠다고 나섰다. 그러자 자신을 글쓴이라고 주장한 누군가가 해당 게시물에 댓글로 "최근 예능 같은 프로그램에 많이 나와 인기를 끌자 질투심에 글을 작성했다"며 "일이 이렇게 커질 줄 몰랐다. 유연석 배우님한테 죄송하다. 실제로 뵌 적 없지만 배려심 넘치는 좋은 인성을 가진 배우일 거라고 생각한다. 글은 삭제하지 않겠다"고 해 유연석 인성 논란은 정리가 되는 듯했다. 하지만 실제 글쓴이가 "사과 글은 내가 쓴 게 아니다"고 하면서 이번 논란은 계속 이어지게 됐다. 유연석 측은 앞서 말한 것처럼 고소를 진행할 계획이다. 소속사는 "선처 없이 허위 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 고소를 하겠다"고 했다.
'염블리' 염승환 이베스트투자증권 이사가 올해 국내 증시가 연말까지 저점을 높이는 '계단식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미국의 리쇼어링(국내 유턴) 등이 국내 증시에는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국내 주식에 대한 분할 매수를 추천했다. 메트로신문 주최로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3 100세플러스 포럼'에서 강연자로 나선 염 이사는 "경기 선행 지표의 하락세가 완만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순환론적 사고로 접근했을때 공포심에 주식을 팔고 도망가기 보다는 힘들더라도 저점부근에서 주식을 담아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염 이사는 "한국 증시에서 코스피의 PBR(주가순자산비율)이 저점일때 평균 0.84배 이상에서 움직이는데 이는 현재가로는 2294선"이라며 "최근 2400선을 유지중인 점을 고려했을 때 하락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하반기부터는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저점을 높여가는 계단식 상승이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 "대규모 금융 리스크 가능성은 낮아" 최근 SVB(실리콘밸리은행) 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불안과 UBS은행의 CS(크레디트스위스) 인수 등 금융 안정성 관리가 이슈로 떠오른 바 있다. 하지만 염 이사는 이번 일련의 상황들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대규모 금융 리스크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염 이사는 "최근 SVB(실리콘밸리은행) 파산과 유럽 CS 유동성 위기 등 갑작스러운 신용리스크가 발생했지만, 곧 회복세에 접어들 것"이라며 "금융 리스크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2008년과는 달리 미국 내에서도 부채 규모 조절이 이뤄지면서 리스크가 확산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2008년 당시 미국의 가계부채는 GDP 대비 100%에 육박했지만, 지난해 기준으로 80% 미만에서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기준금리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금리인상 보다는 미세조정을 통한 금리 충격 완화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미국에서는 기준금리가 5%까지 오르면서 소비자물가지수(CPI)까지 넘어설 것으로 예상돼 더 이상 인상에 나설 유인이 적다는 평가다. 염 이사는 "기준금리가 물가보다 높아지는 이런 상황에서 (금리인상) 페달을 세게 밟을 이유가 없다"라며 "물가가 꺾이는건 시간 문제이며 물가에 공포심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전했다. ◆리오프닝 나선 중국, 한국에는 호재 염 이사는 중국의 리오프닝이 국내 경기에는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염 이사는 "전인대(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예상보다 못미치는 경제 지표가 발표되면서 '리오프닝 효과가 적은 것 아니냐'라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라며 "그러나 지난 2년간 부진했던 중국 내수와 부동산이 회복된다는 것만으로도 우리나라 경제에는 당연히 호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중국 내에서 위안화 대출 증가, 도시주택 가격의 상승세 전환, PMI(구매자관리지수)의 개선 등 중국 경기 회복의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중국의 리오프닝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는 과하다고 꼬집었다. 오히려 리오프닝으로 인한 유통망 정상화로 글로벌 물가의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염 이사는 "아직까지 중국 내 재고가 심각하게 쌓인 상황인데, 재고가 줄어들지도 않았음에도 물가를 걱정하는 건 이른 판단"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세계의 도매시장 허브라고 불리는 '이우시'가 영업 정상화에 나선다는 것은 글로벌 공급망이 풀린다는 뜻"이라며 "물가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차전지·AI 테마 주목 미국이 리쇼어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2차전지, 인공지능(AI) 테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염 이사는 "리쇼어링을 통해 신흥국으로 나갔던 일자리를 미국으로 불러 중산층 일자리 제공, 경제 성장 등을 도모하려 한다"며 "태양광, 신재생, 리사이클, 전력망, 인공지능 등 투자가 이뤄지면서 수혜를 받는 기업은 크게 성장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같은 영향으로 2차전지 관련 종목은 이미 크게 움직인 바 있으며, 챗GPT 등장으로 인공지능 분야가 주목받아 지속적으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한 주주환원 확대가 국내 증시 상승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전했다. 염 이사는 "한국 증시는 실적보다도 항상 가치가 저평가돼 있다"며 "PBR(주가순자산비율)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 주주환원이지만 국내 증시는 전 세계에서 꼴지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적정주가까지 확보하는 데 있어서 제일 중요한 요소는 주주환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연기금의 수익률 제고를 위해서는 주주환원 강화가 효과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염 이사는 "연기금은 국내 주식 대부분을 보유하고 있는데, 주주환원으로 국내 주식이 상승하면 연기금 수익률은 자동으로 오를 수 밖에 없다"면서 "정부도 이를 알고 있기 때문에 배당제도 개선, 외국인 투자 규제 완화 등 정책적으로도 이를 뒷받침하려는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