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저축은행 사태가 발발한 지 10년이 지난 가운데 현재 저축은행의 총 자산이 10년 전 '리즈 시절' 수준까지 회복했다. 회복기간이 약 10년이나 걸린 셈이다.
26일 저축은행중앙회의 '2020년 9월 금융통계현황' 자료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총 자산은 85조2961억원에 달한다. 저축은행 사태 이전 가장 큰 자산 규모를 자랑했던 2010년 상반기 86조3885억원에 거의 코앞까지 다가온 셈이다. 빠르면 올해 상반기 내로 90조원도 거뜬히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14년 저축은행 총 자산이 30조원대까지 급격하게 쪼그라들었던 점을 감안하면 꾸준한 회복세를 걸어왔다는 분석이다.
저축은행 사태는 2011년 1월부터 사건이 전개된다. 당시 삼화상호저축은행을 시작으로 여러 저축은행들이 연이어 금융위원회의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사태의 배경은 무분별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건설사 대출사업) 대출에서 비롯됐다. 당시 저축은행들이 부동산 바람을 타고 PF 대출를 무분별하게 늘려가다 부동산 경기가 위축되는 위기를 맞아 고스란히 저축은행의 부실로 이어졌다.
문제는 저축은행이 대출을 실행한 현금이 대부분 고객의 예금(수신)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실제 당시 부산저축은행은 저축은행의 부동산 직접 투자가 불법임에도 불구하고 각종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자사가 가진 예금액의 약 절반 수준인 4조5942억원을 대출했다.
당시 저축은행들은 불법 대출 외에도 대주주 비리, 허위공시 등으로 골치를 썩였고 그 결과 금융위원회는 총 31개사의 저축은행을 퇴출시켰다. 이후 자연스럽게 저축은행의 전체적인 자산 규모가 급격하게 줄어든 것. 고객의 신뢰가 생명인 금융업의 특성으로 시장에서 외면을 받은 셈이다.
저축은행은 10년이 지나서야 사태 이전 수준까지 다시 올라왔다. 하지만 문제는 총자산, 순이익 모두 대형사의 쏠림 현상이 심각하다는 점이다. 우선 자산의 경우 지난해 3분기 기준 85조2961억원의 약 50%를 상위 10개사가 차지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의 경우 같은 기간 10조8088억원의 총 자산을 기록, 홀로 약 12%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이어 OK저축은행이 7조7605억원, 한국투자저축은행이 4조641억원, 페퍼저축은행 3조9317억원, 웰컴저축은행 3조4945억원으로 각각 뒤를 잇고 있다.
순이익도 양극화 현상을 보이는 것은 마찬가지다. 순이익의 경우 매년 역대 최대이익을 갱신하는 중이다. 심지어 지난해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대 순익을 올렸다.
금융감독원의 저축은행 실적 자료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은 지난해 상반기 684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 역대 최대였전 2019년 상반기 5976억원보다 14.5%가 늘었다.
역시나 순익의 대부분도 대형사가 독식하고 있다. 같은 기간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은 1336억원, OK저축은행 964억원, 웰컴저축은행 598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 외에도 페퍼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등 저축은행 상위 10개사가 차지하는 저축은행 순이익 비중은 약 약 50%에 달한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저축은행의 총 자산 뿐만 아니라 여수신이 70조원을 넘는 등 10년 만에 저축은행 사태 이전 수준까지 회복했다"며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금융당국의 깐깐한 규제로 대출금리도 낮아졌고 저축은행들이 자체적으로 건전성을 높여가면서 소비자들의 신뢰도 많이 회복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규모적 성장과 별개로 과거 저축은행 사태의 원인이었던 부동산 PF대출에 대한 우려도 여전히 제기된다. 당국의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최근 PF대출 비중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경기 회복이 더 늦어지면서 저축은행 대출 부실이 확대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대출 부실화를 대비하는 내부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