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2025년 03월 31일 (월)
사회>제약/의료/건강

에스티팜, 올해 실적 반등 나선다..."1분기에만 총 950억원 계약 확보"

에스티팜 반월캠퍼스 전경. /동아쏘시오그룹.

[메트로신문] 동아쏘시오그룹의 계열사 에스티팜이 올해 실적 반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27일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에스티팜은 최근 공시를 통해 2025년도 목표 매출로 3200억원을 제시했다. 에스티팜은 올해 올리고핵산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서 2000억원대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에스티팜은 올해 들어 수주 계약을 다수 체결해 성장동력을 확보했다. 1분기 수주 계약 규모만 총 950억원을 넘겼다.

 

미국 글로벌 제약사와 488만달러(약 71억원), 유럽 글로벌 제약사와 286만스위스프랑(약 47억원) 수준의 공급 계약을 맺었다. 또 유럽 글로벌 제약사와 1467만달러(약 213억원), 또 다른 유럽 글로벌 제약사와 1523만달러(약 220억원) 등의 계약 소식을 연달아 알렸다.

 

지난 25일에는 미국 바이오텍과 2750만달러(약 404억원)에 달하는 올리고핵산치료제 원료의약품 공급 계약을 올렸다. 특히 이 계약은 상업화 승인을 받은 혈액암 올리고핵산치료제의 2026년 1차 원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처럼 에스티팜이 원료를 공급하고 있는 상당수 물질들은 신약 허가 및 상업화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바이오텍의 유전성혈관부종치료제 올리고핵산치료제 신약은 올해 8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공급 계약 건 가운데 한 유럽 글로벌제약사의 경우, 올해 하반기 미토콘드리아결핍증후군 치료제 상업화를 예상하고 있어 에스티팜은 저분자 화학합성 원료의약품도 공급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에스티팜 측은 "희귀질환뿐 아니라 만성질환 관련 분야가 많은 만큼 장기간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 안정적인 캐시카우를 확보했다"며 "2025년 목표 매출은 환율 1300~1350원을 기준으로 설정했다. 환율이 지금과 같이 유지되는 경우 매출은 더욱 증가할 수 있어 기술력과 경쟁력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에서 매출 성과를 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에스티팜은 제2올리고동을 통해 신규 수주와 상업화 공급 물량 증가를 대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에스티팜은 올해 4분기 제2올리고동을 본격 가동할 계획으로, 향후 에스티팜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생산능력은 연간 14mol(최대 7t)까지 늘어나게 된다. 에스티팜은 생산능력 외에 기술력 측면에서도 mRNA 플랫폼 핵심 기술 '스마트캡', 약물 전달 기술 '에스티엘엔피' 등도 자체 개발했다.

 

에스티팜은 지난해 실적으로 연결기준 매출은 2738억원, 영업이익은 277억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3.9%, 17% 감소했다. 앞서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2493억원, 2849억원의 매출을 내 성장세를 지속한 바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