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2025년 04월 01일 (화)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양심

[메트로신문] 최재천, 팀최마존 지음/더클래스

 

얼마 전 애를 낳은 친구네 집에 놀러 갔다가 흥미로운 장면을 하나 포착했다. 임씨 성을 가진 친구는 아이와 놀아주다가 이따금 구시렁구시렁 혼잣말을 해댔다. 그는 방긋 웃는 아기의 얼굴을 빤히 바라보며 "너 임씨야, 이씨야? 임씨지? 그치? 엄마 딸 맞지?"라는 질문을 계속 이어갔다. 태어난 지 100일이 안 된 갓난쟁이는 엄마의 말을 알아듣는지, 못 알아듣는지, 속을 아는지, 모르는지 빵실빵실 웃고만 있었다.

 

잊을만 하면 한번씩 같은 행동을 반복하길래 연유를 물었다. 억울하다는 답이 돌아왔다. 열달 동안 힘들게 품었다가 낳은 건 저인데 왜 남편 성을 붙여 불러야 하냐는 것이었다. 친구는 삼시세끼 밥 챙겨주고, 기저귀 갈아 주는 것도 거의 본인 몫이라며 원통함을 호소했다.

 

돌이켜보니 참말로 이상한 일이었다. 다들 당연한 듯이 아버지 성을 물려받길래 그냥 그런 줄 알고 살았는데 주위를 둘러보면 양육의 9할 이상을 어머니가 맡고 있지 않은가. 부모 두 사람 중 끼니를 챙겨준 사람, 돌봄에 시간을 할애한 사람의 성을 붙인다고 하면 뭐 더 따져볼 것도 없이 압도적으로 여성이 많을 터.

 

다행히 한국은 호주제 폐지로 자녀가 어머니의 성을 따를 수 있는 나라가 됐지만, 2025년 현재에도 자신의 성을 아버지가 아닌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았다는 사람을 주변에서 흔히 보긴 어렵다. 왜일까. 최재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가 쓴 '양심'을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책에는 그가 호주제 폐지 운동에 가담했다가 겪은 고초들이 상세히 기록됐는데 참담하기 그지없다.

 

1999년 최재천 교수는 '여성의 세기가 밝았다'를 주제로 한 EBS 강연에서 "자연계를 오랫동안 관찰해 봤지만, 그곳에는 호주제도라는 게 없다"며 "만약 자연계에도 이런 제도가 있다면 호주는 당연히 암컷이다"고 말했다. 30초도 안 되는 짧은 발언은 그의 인생을 뒤흔들어 놓았다. 강연이 방영된 다음날부터 그의 연구실엔 항의 전화가 빗발쳤다. 다짜고짜 쌍욕을 퍼붓고 끊는 통에 전화 코드를 뽑고 필요할 때만 연결해 쓰는 생활이 1년 넘게 지속됐다. 테러는 언어에 국한되지 않았다. 여권 신장 관련 토론회에 참석한 최 교수는 물리적인 폭력도 당했다. 갓을 쓴 도포 차림의 노인은 최 교수의 중요 부위를 움켜쥐고 "달렸네. 그런데 왜 암탉들한테 아양을 떨고 그래?"라는 말을 남기고 사라졌다.

 

갖은 수난과 모욕을 겪으면서도 그는 '차마··· 어차피··· 차라리···.'란 심정을 안고 끝내 양심이 이끄는 올바른 길로 몸을 틀었다. "차마 외면할 수 없고, 어차피 할 일이라면 차라리 온몸으로 덤벼들자." 208쪽. 1만80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