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눈부신 AI 발전, 이해·활용 시급하지만 디지털 격차도 커져

인공지능(AI)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며 전세계 산업계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시키고 있다. 개인 또한 AI를 활용하는 비율이 점차 늘고 있다. /DALL-E 생성이미지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해 범용인공지능(AGI) 시대가 다가오며 AI가 기업과 개인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AGI는 현재의 AI보다 발전된 형태로, 모든 조건에서 인간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수준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의미한다. 오픈AI는 지난 7월, 향후 10년 내에 자사가 AGI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여전히 AI 기술 활용 격차와 낮은 국내 투자 비율은 한국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질 우려를 낳고 있다. 업계에서는 정부, 기업, 개인이 '원팀 코리아'로 협력해 AI 활용 능력을 강화하고 디지털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19일 <메트로경제> 취재에 따르면 AI 기술 도입과 활용이 곧 기업의 성공과 개인의 성장을 끌어내며 전세계 AI 시장 규모가 급성장 하고 있다.

 

스타티스타(Statista)는 올해 전세계 AI 시장 규모는 18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시장 연간성장률(CAGR 2024-2030)은 28.46%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30년에는 8267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예정이다.

 

AI 기술은 개인 수준에서도 급격히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 1년간 한국인 챗GPT 앱 사용자 수는 7배 이상 증가했으며 지난달 앱 사용자 수는 526만 명으로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 5120만 명 중 10%에 달했다. 1인당 월평균 사용시간도 51.6분으로 전년 동월 대비 약 20분 증가했으며 1인당 월평균 사용일수는 5.7일로 전년 동월 대비 2.4일 늘어났다.

 

실제 기술 도입을 통한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IDC의 분석에 따르면 AI 기술을 도입한 기업들은 투자한 1달러 당 평균 3.7배의 투자 수익률을 얻고 있으며 상위 그룹은 평균 10.3배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문제는 AI 기술 활용이 모든 기업과 개인에게 평등하지 못하다는 데 있다. 특히 우리 나라는 AI에 대한 투자 규모 또한 타 국가 대비 낮은 수준이어서 AI 활용의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간 차이가 크게 벌어지고 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AI 투자 규모는 총 196조 원으로 그 중 미국이 62%, EU가 8%, 중국이 7%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한국의 투자 비율은 1% 기술력 대비 미미한 수준이다.

 

기업 내 AI 도입 또한 평균 수준을 하회한다. IDC 조사에 따르면 전세계 AI 기술을 도입했다고 응답한 기업은 올해 75% 였다. 반면 ITWorld/CIO 조사에서 국내 기업은 10곳 중 4곳 수준만이 도입했거나 도입 중으로 나타났으며, 산업군별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응답자의 85%는 "사업 경쟁력 유지 및 운영 혁신을 위한 조직 현대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해 AI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지만 '구현 및 유지 관리(38%, 복수응답)', 'AI 결과물의 설명 가능성 및 투명성(36%)' 등을 AI 도입을 어렵게 하는 장애물로 꼽았다.

 

개인의 나이에 따른 디지털 격차도 크다. AI 기술 활용능력을 기업에서 중요시하면서 디지털 격차의 확대는 곧 생산 인구의 부족을 부를 수밖에 없다. 한국리서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39세가 42%로 가장 많고, 40~49세(30%), 50세 이상(24%) 순이다. 이들 중 70%는 주 1회 이상 AI 기반 소프트웨어·서비스를 이용하며 AI를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개인과 기업 모두 우리나라가 자체 인프라 데이터를 활용, 인터넷 강국이 되었던 만큼 주요 주체가 원팀이 돼 선도하는 방안이 제시된다.

 

윤상두 네이버클라우드 AI랩 소장은 "국가나 기업이 자체 인프라·데이터를 활용해 독립적인 인공지능 역량을 구축하는 소버린 AI 경험을 바탕으로 AI 기술 기회를 창출하고 해외 진출을 도모해야 한다"며 "정부, 통신사, 대기업, 스타트업, AI 반도체 기업 등이 '원팀 코리아'로 똘똘 뭉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AI 기술 도입이 기업과 사용자의 업무 생산성과 성과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나, 기술적 문제·보안 이슈 대비, 사용 방법에 대한 적절한 교육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