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다시, 기업가 정신] 무에서 유를 창조한 최종건 회장…재계 2위 밑그림 그리다

최종건 창업회장(맨 앞 왼쪽)이 직원들과 공장을 둘러보고 있다.

"남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는 경쟁이 안된다."(최종건 창업회장)

 

전쟁의 폐허 속에서 매출 200조원 등 자산구모 기준 재계 2위 그룹으로 성장한 SK의 역사는 대한민국의 산업 성장사를 보여주는 축소판이나 다름없다. SK는 창업주인 고(故) 최종건 회장이 지난 1953년 4월8일 6.25 전쟁으로 폐허가 된 한 수원시 권선구 평동 4번지를 매입해 선경직물을 세우면서 시작됐다. 특히 선경직물 공장은 창업주인 최종건 회장이 종업원 몇명과 자신의 마차를 이용해 5㎞ 떨어진 광교천에서 돌과 자갈을 날라 만든 것으로 SK그룹의 뿌리라고 볼 수 있다.

 

최종건 회장이 이끌던 SK는 1962년 11월 10여 년간의 유학생활을 마친 고(故) 최종현 회장이 선경직물 부사장으로 취임하면서 패기(최종건)와 지성(최종현)의 쌍두마차 체제를 갖추게 되면서 가파른 성장을 일궈냈다.

 

1953년 한국전쟁 후 폐허가 된 선경직물.

◆열정과 패기로 '무에서 유를 창조하다'

 

최종건 회장은 우리나라 재벌 기업 창업주 가운데 가장 짧은 생애를 살면서 가장 많은 업적을 이룩한 기업가로 꼽힌다.

 

최종건 회장이 경성직업학교 기계과를 졸업하고 일본인이 경영하던 선경직물 공장에 견습기사로 입사한 것은 해방을 얼마 앞두지 않은 1944년 4월이었다. 졸업과 함께 3급 기계정비사 자격을 획득하며 일자리를 갖게된다. 그러나 최종건 회장은 자신이 직접 사업에 도전하겠다는 패기를 앞세워 1949년 선경직물 공장을 떠난다. 하지만 6·25 전쟁 중 잿더미로 변한 선경직물 공장을 외면할 수 없어 1953년 3월 전쟁으로 불탄 100여 대 직기의 부속들을 수습, 재조립하며 공장 건물을 복구했다.

 

그리고 마침내 그 해 8월 정부 귀속 재산이던 선경 직물주식회사를 인수하면서 창업의 꿈을 이루게 된다. 특히 불에 탄 부품을 모아 직기 4를 재조립하고 선경직물을 재건한것은 그 누구도 생각지 못한 일이다. 최종건 회장이기에 가능했다.

 

1971년 11월 제8회 수출의 날 대통령 표창을 수훈한 최종건 창업회장

창업 초창기 헌 직기를 사다 설비를 증설하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최종건 회장은 신제품 개발에 남다른 열정을 기울였다. 직기 4대로 출범한 선경직물은 불과 5년 사이에 보유 직기 1000대를 돌파했다.

 

최종건 회장의 품질제일주의가 빛을 본 것은 해방 10주년 기념 전국 산업박람회에서 '닭표(영문명:Rooster)' 안감이 부통령상을 수상하면서부터다. 부통령상 수상업체에 지원된 300만 환의 융자는 선경직물이 주식회사로 도약하는 귀중한 재원이 됐다.

 

1950년대 후반에는 국내 최초로 합성 직물인 나일론과 테토론을 생산한 데 이어 1960년대에는 크레폰·앙고라·깔깔이· 카이론 등 각종 직물을 개발·생산해 국민의 의류생활 개선에 기여했다.

 

1968년 12월 아세테이트 원사 공장 완공 후 찍은 내부 전경.

선경이 국내 유수의 재벌 기업으로 부상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말이다. 몇년 동안 노력 끝에 최종건 회장이 아세테이트 원사와 폴리에스테르 원사 공장(SK케미칼)을 건설한 때부터다. 선경 성장사에 커다란 디딤돌을 놓게 된 아세테이트 공장 기공식이 거행된 것은 1968년 3월 25일이었다. 그리고 3개월 뒤 폴리에스테르 원사 공장이 건설되었다.

 

두 공장 완공 후 최종건 회장은 섬유산업의 계열화를 위해 선경유화(DMT )와 선경석유(정제)를 설립해 화학섬유의 원료산업인 석유화학 공업 진출을 도모했다. 그러나 최종건 회장은 1973년 11월 15일 평생을 꿈꿔온 섬유산업 수직계열화의 꿈을 동생인 최종현 회장에게 넘기고 48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인 배터리와 정유, 반도체 그리고 대한민국 1위 이동통신사업자를 보유한 SK그룹이 탄생하기까지 최종건 회장의 열정과 패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최종건 회장은 그야말로 우리 경제의 성장을 이끈 핵심인물이다.

 

1950년대 후반 최헌길 경기도지사로부터 우량기업체 표창을 받는 최종건 창업회장 .

◆인재 경영

 

최종건 회장은 인재를 모아 적재적소에 등용하는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최종건 회장은 선경직물을 운영 초기 초등학교도 졸업하지 못한 여성 직원들을 위해 야학을 운영하기도 했다.

 

또 필요한 인재가 있으면 몇 번이고 찾아가 도움을 요청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설득했다. 기업은 사람이 하는 것이므로 경영에 있어 인재가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그는 공장을 관리할 적임자인 김영환을 설득하기 위해 세 번을 찾아갔고 최고의 도안가 조용광을 영입하기 위해 1년을 기다렸다. 그의 진심은 언제나 사람들 움직이게 하는 힘이 있었다.

 

특히 엔지니어이기도 했던 최종건 회장은 기술을 최우선하는 기업가였다. 그의 신념은 남보다 싼 것이 아니라 제일 좋은 것을 만드는 것이다. 품질을 통해 소비자의 신뢰를 얻어야 기업을 잘 경영할 수 있다는 것은 그가 평생을 지켜온 철칙이다

 

창업 초기 히트 상품인 인조견 닭표 안감부터 제조원을 밝힌 것도 제조에 대한 자부심과 함께 고객과의 신뢰를 쌓기 위한 의도였다. 이후 봉황새 이불감 생산, 나일론 직물 개발, 크레퐁과 앙고라 개발, 조제트 생산, 폴리에스터 원사 '사카이론' 생산 및 수출에 이르기까지 그는 언제나 최고만을 고집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