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서울 분양가 3.3㎡당 3500만원 근접..."오늘이 가장 싸다"

HUG ‘12월 민간 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분석
분양가 저렴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수요자 늘어
원자잿값·인건비 상승 등으로 분양가 인상 불가피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뉴시스

최근 원자잿값과 고금리에 따른 금융 부담 등으로 분양가가 급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의 분양가가 3.3㎡당 3500만원에 근접한 가운데 수요자들이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 지역으로 눈길을 돌리는 모양새다.

 

24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는 3.3㎡당 1736만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분양가(1710만원) 대비 1.5%(26만원) 오르며 10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동월 분양가(1546만원)와 비교하면 약 12.3%(190만원) 올랐다.

 

지난달 서울 민간아파트 3.3㎡당 분양가는 3494만원으로, 전월 분양가(3414만원)보다 2.3%(80만원) 올랐다. 전년 동기(2977만)와 비교하면 17.4%(517만원)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전용면적 84㎡ 기준 새 아파트의 분양가는 11억원을 훌쩍 넘는 수준이다.

 

서울 지역의 분양가는 지난 2022년 5월 2000만원대로 떨어진 후 같은 해 12월까지 3000만원을 밑돌았다. 지난해 1월 3000만원대로 다시 오른 이후 3월부터 지속적인 상승세를 타며 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HUG가 발표하는 월별 평균 분양가격은 공표 직전 12개월 동안 분양보증서가 발급된 민간 분양사업장의 평균 분양가격을 의미한다.

 

업계에서는 원자잿값 급등과 인건비 상승, 고금리 등으로 분양가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한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톤(t)당 7만8800원이던 시멘트 7개 회사의 평균 가격은 지난해 11만2000원으로, 3년 만에 42.1%(3만3200원) 올랐다.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적용 건설업 임금실태 조사'를 보면 올해 상반기 건설업 평균임금은 27만789원으로, 지난해 하반기 평균임금(26만5516원) 대비 2%(5273원) 올랐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6.01% 상승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서울에서 내 집 마련을 포기하고 상대적으로 분양가가 저렴한 인천, 경기로 이동하는 수요자가 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인천의 민간아파트 3.3㎡당 분양가는 서울의 절반 수준인 1949만원이고, 경기의 경우 2159만원으로 서울보다 약 1335만원이나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분양시장도 뜨거워지고 있다. 서울 아파트 분양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피로감을 느낀 수요자들이 인천, 경기 청약시장에 몰리고 있는 것.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달 분양이 이뤄진 경기 안산시 단원구 '롯데캐슬 시그니처 중앙'은 1순위 청약에서 총 3333건의 청약통장이 접수돼 평균 13.0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용면적 59㎡A타입이 최고 경쟁률인 20.19대 1을 기록했다. 단지는 이달 8일부터 10일까지 정당계약을 진행한 후 8일 만인 18일에 완판을 이뤘다.

 

업계 관계자는 "시멘트, 레미콘 등 원자잿값부터 인건비까지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 분양가는 앞으로 더 오를 수밖에 없다"면서 "최근 전셋값이 급격히 오르면서 임대 부담이 커지는 만큼 내 집 마련을 계획하는 수요자라면 하루라도 빨리 청약을 통해 새 집을 분양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