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가 디지털 전환(DX)에 사활을 걸었다. 공장은 물론 창고와 상업 공간, 사무실과 까지도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챗GPT로 촉발된 인공지능(AI) 활용은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로 자리잡았고, 미래 먹거리로는 빼놓을 수 없는 과제가 됐다. DX가 '혁신의 트리거'가 된 셈이다.
DX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업무와 사회 구조 등을 혁신하는 것을 뜻한다. 초고속 통신과 사물 인터넷(IoT), AI와 로봇등을 통해 기존 업무를 디지털로 대체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스마트팩토리와 물류 자동화, 무인 점포와 사무 자동화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다.
DX는 단순히 사업 효율을 높이는 것뿐 아니라, ESG 경영에서도 필수적인 과제로 꼽힌다. 종이를 비롯한 자원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근무 환경 개선으로 근로자 복지도 확대할 수 있어서다. 대기업들은 중소기업에 DX 전환을 지원하며 상생하려는 노력도 아끼지 않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DX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는 이제 필수가 됐다. 삼성전자와 LG전자, SK하이닉스와 현대자동차 등은 일찌감치 공장을 자동화하는데 힘을 쏟아왔다. 로봇 기업을 인수하거나 투자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모든 사물을 모빌리티화하는 기술을 개발해 '디지털 트윈'을 고도화, 올해말 싱가포르에 혁신센터인 'HMGICS' 완공을 앞두고 있다. LG전자도 창원과 미국 테네시 공장을 완전히 스마트 팩토리로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AI를 활용해 사무와 연구 업무까지도 자동화하고 있다. LG전자와 LS그룹 등은 최근 단순 사무 업무를 대체할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를 성공적으로 도입해 생산성을 극대화했다. 반도체와 바이오 등 업계에서도 소재를 연구하는 AI를 활용해 연구 기간을 크게 단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DX는 미래 먹거리로도 중요한 자리를 차지했다. 통신사들은 5G와 함께 DX 솔루션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고 다양한 상품을 내놨다. LG 유플러스가 KT에 이동통신 가입 점유율을 앞선 것도 B2B 등 사물 회선을 크게 늘렸던 덕분이었다. 삼성SDS와 LG CNS, SK C&C 등 SI 업계도 클라우드를 넘어서 DX 솔루션에 힘을 쏟고 있다. LG전자가 광양제철소에서 자율주행로봇을 활용한 실증 사업을 성공시키는 등 산업계에서도 DX를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상태다.
글로벌 빅테크도 AI로 희비가 갈렸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등이 치열하게 경쟁하던 사이, MS가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와 협력하면서 시장을 뒤집기 시작했다.
일부 업종에서는 DX로 생사가 갈리는 모습도 나타났다. 사무기기 업계가 대표적.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비대면 업무가 확대되면서 시장이 완전히 침체된 사이, 후지필름비즈니스이노베이션(BI)은 발빠르게 DX로 체질을 개선하면서 새로운 시대에서도 사무실을 지킬 수 있었다.
기업들은 DX 역량을 활용해 '상생'도 실현하고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주요 기업들이 스마트팩토리 구축사업에 참여해 여러 협력사들에 DX를 지원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마스크 등 위생 용품 생산량을 단시간에 대폭 늘릴 수 있었던 데에도 이 사업 영향이 컸다. 종이를 없애는 '페이퍼 리스' 방식은 이미 기업 전반에 당연한 문화로 자리잡았고, 조만간 웨어러블 로봇을 통해 업무 위험성도 최소화할 계획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여전히 DX에 어려움을 겪는 것도 사실이다. 당장 적지 않은 중소기업들이 비용과 난이도 등 어려움으로 DX를 시도하지 못하거나 실패했다. 최근 '정부24' 앱 다운이나 공공 앱 실패 등에서 보이듯 정부도 조직 경직성과 전문성 미흡 등으로 DX에 그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메트로신문·메트로경제는 22일 오후 서울 을지로 페럼타워에서 뉴테크놀로지포럼 'DX - 혁신의 트리거'를 열고 DX 현황과 성과, 한계와 과제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하토가이 준 한국후지필름BI 대표가 DX 여정을 소개하는 기조연설을 맡았고, 이건복 MS 상무가 생성형 AI로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과 사례를 공유하는 강연을 준비했다. 이어서 오경석 영남대학교 교수가 정부의 DX 한계와 극복 방안, 김상윤 중앙대학교 교수가 DX 시대에 새로운 경쟁력을 설명한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