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 공공기관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DX) 수요가 늘며 이들을 위한 데이터 플랫폼 시장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최근 DX 과정에서 생성형 AI를 이식하는 사례가 늘며 방대한 데이터셋을 저장하고 보안을 강화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15일 데이터 기업 클라우데라가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 서울에서 글로벌 데이터 플랫폼 컨퍼런스 '이볼브2023(Evolve2023)'을 개최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IBM, 인텔(Intel)과 공동주최한 이번 행사는 기업용 AI 플랫폼에서 기업이 고객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대규모언어모델(LLM) 구축 등 다양한 첨단 이슈를 공유했다.
최승철 클라우데라코리아 지사장은 클라우데라의 데이터플랫폼(CDP)를 소개하고 "데이터 산업의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기업이 자신의 모든 데이터와 AI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등 모든 데이터를 AI에 적용할 만반의 준비가 돼있어야 한다"며 "퍼블릭·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아우른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이 대두되는 만큼 데이터가 어디 있더라도 잘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통합되고 심리스한 데이터플랫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볼브2023 행사에 앞서 B2B 대상 데이터 사업을 다루는 주요 기업들의 소식도 줄지어 전해졌다.
구글클라우드는 14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서 행사를 열고 '버텍스 AI(Vertex AI)'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고객사에 서울 리전(Regions·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물리적 데이터센터) 서비스를 제공해 보안성을 높이겠다 밝혔다. 6일에는 팀 네이버가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네이버의 두 번째 자체 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본격적으로 가동, AI, 클라우드 중심 비즈니스 본격화를 선언했다. 삼성SDS는 지난달 컨퍼런스에서 기업용 생성AI 서비스인 브리티 코파일럿과 패브릭스를 발표해 기업 DX 수요를 정확히 겨냥했다.
거의 모든 산업군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DX에 관한 글로벌 시장은 비즈니스 와이어에 따르면 2021년 52만 1467백만 달러에서 연평균 19.1%로 성장해 2026년 124만 7542백만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기업의 DX는 ▲데이터중심 의사결정 ▲디지털 기술 통합 및 자동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고객 경험 개선 ▲사이버 보안 강화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 전환 등을 주안점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데이터 중심 의사결정과 자동화를 위해 생성형 AI가 적극 도입되는 추세인데 이는 곧 데이터 연산을 위한 초거대 데이터 플랫폼과 보안 위험에 대한 경계 등 최첨단 기술과 전문가 집단의 필요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다니엘 핸드 클라우데라 아태지역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기업 DX와 생성형 AI 간 관계에 대해 "생성형 AI는 자연어 처리와 LLM을 통해 새롭게 데이터와 소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줬다"며 "데이터를 ETL로 정리하고 SQL로 분석한 전통적 아키텍처와 달리 최신 AI 스택은 LLM에 자연어로 질문하고 임베딩 기술을 통해 기존 데이터 모델이나 ETL 계층을 없애는 형태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양한 앱이 대형 모델을 공유하며 튜닝이나 파인튜닝으로 접근하는 형태인 만큼 데이터를 완전히 통합해 공유하는 것과 데이터를 튜닝하는 게 모두 필요해진다"며 "상용 모델과 오픈소스 모델을 유연하게 쓸 수 있어야 하고, 학습 및 추론 그리고 미세조정 등의 비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적절히 혼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IT업계 관계자는 "생성형 AI가 가져오는 혁신 만큼 사용을 위한 다양한 준비과정과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 하는 지점들이 있고, 이는 곧 데이터 기업들에게 중요한 비즈니스 기회가 된다"며 "특히 기술집약적인 만큼 얼마나 자사 기술을 잘 어필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