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패션

[메트로가 만난 기업人] 임선옥 파츠파츠 대표 "버려진 것에서 새로운 것을 찾아보세요"

임선옥 파츠파츠 디자이너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그는 2011년 성공적으로 운영하던 자신의 패션하우스를 과감히 접고 새로운 컬렉션 '파츠파츠(PARTsPARTs)'를 열었다. 디자인 작업의 지속가능성과 스스로 삶에 대한 지속가능성을 모두 고민한 결과였다. /손진영 기자

"처음 파츠파츠를 고민하던 때 등산복이 아주 유행했어요. 등산복 바지는 보통 그때 '네오프렌' 원단을 썼어요. 플렉서블하면서도 모든 기능이 탑재됐지만, 결코 아주 고급 소재는 아니에요. 하지만 나는 디자이너니까, 저 소재로 하이엔드 디자인을 한다면 어떨까? 지금 제가 입은 것도 네오프렌이에요. 아주 고급스럽죠?"

 

신체를 따라 부드럽게 흐르는 검은 상의에 두 줄의 진주목걸이. 등산복 소재가 저런 모습일 수 있구나 하는 인상과 함께 '아이코닉(ICONIC)'이란 단어가 떠올랐다. 그는 '파츠파츠(PARTsPARTs)'의 임선옥 대표 디자이너다. 임 디자이너는 1962년생으로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하다 1993년문화복장 하우스를 수석 졸업했다. 1996년 이고(EGO) 디자인스튜디오를 설립하고 1998년 S.F.A.A 신진디자이너로 데뷔했다. 서울 강남구 신사동 패션거리의 1세대였으나 그에게는 산업과 자기자신에 대한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메트로경제> 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부암동 '파츠파츠 랩'에서 하이패션 브랜드 파츠파츠의 임선옥 디자이너를 만났다.

 

소비재부터 원자재까지 모두 '지속가능한'을 부르짖는 지금이지만, 임 디자이너는 소비 이후를 생각하는 이가 많지 않았던 2011년 지속가능한 패션 브랜드인 파츠파츠를 세상에 선보였다. "네오프렌 원단 하나만으로 사계절 모든 스타일을 만들겠다." 잔뼈 굵은 패션업계 인사들도 가능성에 의문을 품고 말렸지만 임 디자이너는 기어코 하나의 원단으로 사계절의 모든 옷을 만들어내고 10여 년 이상 새롭고 트렌드를 선도하는 데에 성공했다. 그리고 2023년, 누구보다도 빨랐던 지속가능함(Sustainable)을 고민한 트렌드 리더가 됐다.

 

파츠파츠의 옷을 들어보이는 임선옥 디자이너. 네오플렌만으로 만들었지만 사계절에 대응하고, 디자인은 무엇하나 같지 않다. /손진영 기자

"처음 열었을 때 굳이 지속가능하다 같은 말을 쓰진 않았던 것 같아요. 패션산업에 일을 하다 보면 정말 많은 산업 폐기물이 나와요. 사실 패션 브랜드는 1개의 원단 소재만을 사용해서 사계절을 운영할 수 없어요. 여름은 면 티셔츠를 입지만 겨울엔 울 니트에 솜을 채운 패딩재킷을 입잖아요? 패션이 그래요. 디자이너가 나의 욕심을 채우려면 더욱 그래요. 수백가지 소재와 수백 가지 컬러가 필요해요. 지속가능할 수 없는 거지요."

 

임 디자이너가 새로운 패션에 대해 고민하던 2010년 무렵 한국은 막 패스트 패션이 막 들어오던 쯤이었다. 자라, H&M, 포에버21 등으로 대표되는 패스트패션은 1~2주 단위로 신상품을 선보이고 5일이면 바로 신상품으로 교체한다. 디자이너 하우스 하나가 대응할 수 있는 규모가 아니었다. 패스트패션은 옷을 '일회용품'으로 만들었다. 유엔에 따르면 지구 전체 탄소 배출량 중 패션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8~10%, 패수 발생의 20%다. 의류 생산과정에서는 염료 등 한 해 4300만 톤의 화학물질이 발생한다. 여기에 더해 매년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1000억 벌 이상 의류 중 73%는 '브랜드 가치 유지'를 위해 소각, 매립된다. 패스트패션을 대표로 무한한 재료와 생산이 지속가능한 지구를 망치고 있다.

 

"제가 1998년 패션계에 데뷔를 했는데, 2010년 쯤엔 좀 지쳐있는 상태였어요. 이렇게 계속 해야 할까, 끊임없이 새로운 시즌 새로운 옷을 만들어내기 위해 일하고 고민하고 나를 소모하는 데 지쳐있었어요. 유명세와 달리 비즈니스 운영도 쉽지 않았구요. 여러 가지 상황 속에서, 그때 당시 물밀 듯 들어오는 패스트패션과 완전히 다른 길을 가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어요. 그래서 문득 이제 여러 형태의 컬렉션을 모두 경험했으니까, 하나의 소재로 순환할 수 있는 컬렉션을 만들어본다면 어떨가, 그런 생각을 한 거지요."

 

임 디자이너가 선택한 네오프렌(Neoprene)는 미국 듀퐁사가 개발한 합성 고무의 일종이다. 내약품성, 내유성, 내후성, 내열성, 내오존성, 내마모성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기능성으로 처음에는 잠수복 소재로 주로 사용했고 최근에는 등산복 등 기능성 의류 원단으로 각광 받았다. 1mm 두께부터 다양한 두께로 생산되며 원단을 잘라도 면 원단과 달리 단 처리가 불필요하고 프린팅이 용이하며 표현 또한 뛰어나다. 세탁 후에도 주름지지 않는다.

 

"한개의 소재로 한계를 느끼지 않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데, 오히려 소재가 단일하다 보니 디테일이 조금만 달라도 전혀 다른 느낌의 이미지가 나와 무한한 재미가 있어요. 저는 종종 세라믹 아티스트들의 작업과도 비교하는데요, 그들은 모두 같은 소재로 작품을 하지만 천 명의 아티스트 전부가 서로 다른 작업을 하잖아요? 그와 같아요. 오히려 하나니까, 소재의 두께를 달리해보고 충전재를 채워보기도 하고 이 디자인 저 디자인 모두 시도해보며 즐겁게 할 수 있어요. 과거부터 현재까지 수많은 작품을 냈지만 아직 100년을 더 해도 될 것 같아요."

 

오히려 네오프렌 원단 하나로 제한했더니 가능성은 커졌다. 겨울 롱코트가 이번 시즌에 남아도 가위로 싹둑 자르기만 하면 마감을 위해 손을 덧대지 않아도 새 옷으로 변한다. 수많은 원단과 소재들이 저마다 특성으로 이러저러한 세탁 방법과 관리법을 요구하지만 그런 수칙을 지킬 필요도 없다.

 

웃어보이는 임선옥 디자이너의 모습. /손진영 기자

"지금은 전세계적으로 ESG가 돌풍이어서 다들 우리 브랜드를 찾아오지만, 처음에는 우리도 별다른 홍보력이 있지 않았어요. 다만 이걸 만들었을 때 서울시에서 10명의 디자이너를 파리에 보낸다는 그런 안을 처음 내놨어요. 이전에 파리는 한 번 다녀왔지만 형편없었어요. 디자인을 모두 흥미로워해도 가격이라든가 그런 부가적인 요소에서 외면했어요. 하지만 이번엔 달랐어요. 굉장히 주목 받았고, 다음해에는 핀란드 알토대학원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해 연구하고 싶은데, 방문할 수 있겠느냐는 제안을 받았어요. 그 이후 쭉 정말로 지속가능하게 이어왔고, 우리가 지속가능성의 어떤 모델이 됐다는 점에서 고무적이지요. "

 

임 디자이너는 디자인 뿐 아니라 경영과 생산의 구조에서도 굉장히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소재 사입을 위한 업무와 선택을 위한 끊임없는 구입과 폐기 과정이 패션하우스 경영에 50%를 차지하지만 이를 모두 해결했다는 것이다.

 

"버려진 것을 자원으로 한 번 봐요. 신진디자이너 때 저는 큰 스타렉스를 타고 다니며 길가에 버려진 가구들을 줍곤 했어요. 주워다가 다른 것들과 조합해 두면 전혀 새로운 가구로 거듭나요. 누가 버린 유릿장을 들고와 아래에 벽돌을 받치면 새로운 테이블이 되고, 거기에 내가 그림을 그리면 또 새로운 작품이 되지요. 새로 구입하지마세요. 버려진 것을 한 번 더 보세요. 그게 바로 새로운 거에요.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