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김양팽의 일본 이야기] 만화(漫画)와 웹툰

/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아직도 코로나19 환자가 하루 평균 3만 6천 명 정도로 집계되고 있지만, 코로나19는 더 이상 공포의 대상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이 된 것 같다. 주변에서도 코로나19 확진보다 독감에 걸리는 것이 더 힘들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코로나19의 위력은 약해졌고 지하철과 버스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이 눈에 띄게 줄었다. 사람들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지난 수년간 막혀있던 하늘길도 열리고 TV 방송들은 앞다투어 해외여행 관련 방송들을 내보내고 있다. 최근 해외여행 방송을 보면 한국말을 할 줄 아는 현지인이 자주 등장한다. 물론 방송국의 의도된 연출일 수도 있지만 그만큼 한국 영화와 드라마가 인기를 끌었기 때문에 근처에서 섭외도 가능했을 것이다. 필자 주변에는 학교나 학원에서 정식으로 일본어를 배우지 않았는데도 일본어 회화를 능숙하게 하는 놀라운 능력자가 몇 명 있다. 그들의 공통점은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드라마에 빠져서 일본어를 독학했다는 것이다.

 

필자도 유학을 준비하면서 일본어를 본격적으로 배우기 위해 일본 드라마를 보기 시작했는데 일본 드라마는 우리와는 다른 분위기로 색다른 재미가 있었다. 당시 그 차이는 한국과 일본의 문화와 정서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원론적인 수준의 차이로 이해했다. 하지만 일본에서 조금 생활하다 보니 그것보다 더 큰 차이가 원작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000년대 초반 우리나라 드라마는 우리의 일상이 소재가 되었고 작가들이 창작 활동을 통해 드라마 대본을 작성했지만, 일본의 애니메이션이나 드라마는 원작 대부분이 만화라는 것이었다. 일본 편의점 가판대에는 다양한 잡지와 함께 항상 만화책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는데 주간, 계간, 월간으로 발간되는 수많은 만화책이 있고 그중에서 인기를 끄는 이야기가 애니메이션이나 드라마로 제작되는 것이었다. 이미 만화가 인기를 끌었기 때문에 한차례 검증이 되어 제작자로서는 실패의 위험이 적었을 것이고 시청자는 소문으로 들었거나 만화를 통해 익숙한 내용을 영상으로 접하게 되니 시청률도 높게 나타날 수 있었다. 일본에서 종이로 된 만화책이 문화의 하나로 자리를 잡는 동안 우리나라에서 만화책은 등한시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런데 우리나라 정보통신(ICT) 산업의 발달은 이러한 분위기를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PC와 인터넷의 빠른 보급으로 인해 플랫폼 사업이 발달하였고 웹툰 시장이 빠른 속도록 성장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인기 웹툰 작가의 작품이 드라마와 영화로 제작되는 것이 당연한 현상이 되었다. 예전 일본의 만화책이 드라마나 영화의 원작이 되었던 것과 같이 한국에서는 웹툰이 그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일본의 만화가 인정받는 창작물로써 드라마나 영화의 원작이 되고 새로운 창작의 모티브가 되는 동안 우리나라에서는 만화에 대한 왜곡된 인식으로 인해 만화산업이 성장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최근 웹툰의 부상을 보면 정보통신과 플랫폼 산업의 발전이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화와 웹툰은 아날로그와 디지털로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 아날로그 시대에서는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만화가 디지털 시대로 전환되면서 웹툰으로 재평가되는 것은 마치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성장하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만 같다. 어쩐지 만화는 일본, 웹툰은 한국의 진화하는 모습을 반영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기분 탓만은 아닐 것이다.

 

/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