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물류/항공

HMM, 매각 이슈 있어도 '중고 대형벌크선' 인수…사업다각화 정조준

HMM CI/HMM

국내 최대 해운사 HMM이 매각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중에도 중고 대형 벌크선을 인수했다. 싱가포르 해운전문매체 스플래시247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한국 해운사 HMM이 독일 '올덴도르프 캐리어스'가 보유하고 있던 대형 벌크선 '뉴캐슬맥스(Newcastlemax)'를 4650만 달러(한화 약 600억원)에 인수했다고 보도했다.

 

벌크선은 철강·석탄·곡물 등 원자재를 대용량으로 실어 나르는 선박이다. 이번에 HMM이 인수한 '뉴캐슬맥스'는 호주 뉴캐슬항에 입항이 가능한 가장 큰 규모의 선박이기도 하다. 대형 벌크선은 큰 크기 때문에 입항 가능한 항만의 이름을 붙이는 식으로 분류된다.

 

올덴도르프 캐리어스가 보유하고 있는 뉴캐슬맥스는 총재화중량(TDW·Total Deadweight)이 20만9000TDW로 일반적인 뉴캐슬맥스(18만5000TDW)보다 많은 적재량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선박·해양설계연구소(MARIC)와 HD현대중공업의 협업으로 제작됐다.

 

현재 HMM이 보유하고 있는 벌크선은 '케이프사이즈'와 '울트라맥스'로 이번에 인수한 뉴캐슬맥스 보다 총재화중량이 적은 선박으로 분류된다.

 

이번 인수는 컨테이너선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HMM의 사업다각화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HMM은 2021년과 2022년 영업이익으로 7조3775억원, 9조9455억원을 거뒀는데 김경배 HMM 대표이사는 벌어들인 영업이익을 HMM의 사업다각화와 친환경 선박 투자 및 연료 개발 등에 쓰겠다는 의지를 피력해왔다.

 

지난해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컨테이너선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93%에 달하지만 벌크선은 5%에 불과했기에, 이번 인수는 이러한 선대 불균형을 해소하는 부분에서 도움이 될 전망이다.

 

실제로 지난해 7월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김경배 HMM 사장은 컨테이너와 벌크 사업의 균형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 벌크선을 2026년까지 55척으로 늘리겠다고 말한 바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