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이정희 大記者의 西村브리핑] 새해에는 '과이불개' 되풀이 않기를

이정희 대기자.

해마다 사자성어로 한해를 정리하는 '교수신문'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과이불개(過而不改)'를 꼽았다. '과이불개'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논어의 '위공령편'에 처음 등장한다. 공자는 '과이불개 시위과의(過而不改 是謂過矣)', 즉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고 했다. 한국의 대표적 지식인인 교수들이 잘못과 과오를 저질러도 반성하거나 고치려 하지 않는 한국 사회의 후진성을 질타한 것으로 보인다.

 

2022년 대한민국에 이 '과이불개' 공식을 대입해 보면 올 한 해 국민이 맛보았던 '희로애락'에서 노여움과 슬픔이 기쁨과 즐거움을 밀어내고 있다. 지난 10월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서 158명이 압사하고 196명이 다치는 참사가 발생했다.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최대 인명 피해다. 헬러윈을 맞은 주말에 이태원 해밀톤 호텔 옆 4m 이내의 경사진 골목에서 수백명이 끼여 빠져나가지 못하면서 벌어진 비극이었다.

 

한반도가 다시 전쟁 위기 상황으로 빠져들고 있다. 합동참모본부 발표 기준으로 북쪽은 올 한해 역사상 가장 많은 탄도미사일(36차례·75발)을 쐈다. 한해가 마무리되는 12월 26일에는 북한이 무인 드론기 5대를 우리 영공에 띄우는 도발까지 했다.

 

10월15일 SK C&C 판교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 서비스가 멈추면서 일상이 마비됐다.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 장애로 온라인 대화가 멈췄고 택시 이용(카카오T), 송금, 결제(카카오페이), 포털 검색(다음), 음악스트리밍(멜론) 장애 등으로 큰 불편을 겪었다. 카카오 서비스가 복구되는데 걸린 127시간 33분은 플랫폼 독과점 시대의 위험성을 낱낱이 보여준 시간이었다.

 

올해는 기록적인 폭우·가뭄 등 기후 변화에 따른 이상 기후를 체감할 수 있었던 한해였다. 지난 8월 수도권과 강원, 충남 등에 쏟아진 폭우로 14명이 사망하고 6명이 실종했다.

 

9월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한남로로 경북 포항 등에서도 인명 피해(사망·실종 12명)가 잇따랐다.

 

경제 분야를 살펴보면 코로나 대유행의 충격에서 벗어나 세계 경제가 회복세를 보일 것이란 기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갈등 속에 물거품이 됐다. 글로벌 에너지·공급망 위기가 동시에 불거졌고 덩달아 물가도 치솟았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미국을 필두로 주요국이 앞다퉈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세계 경제는 경기 침체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웠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3%(7월·23년8개월 만에 최고치), 미국은 9.1%(6월·41년 만에 최고치)까지 치솟았다. 금융위기 이후 10여년간 이어진 저금리 유동성 잔치가 종말을 고하고 통화긴축시대가 도래하면서 정책금리는 미국은 연 4.25~4.50%, 한국은 연 3.25%까지 뛰었다.

 

인플레발 금리 충격과 수출 둔화, 무역적자 지속에 원·달러 환율도 요동치며 1433.20원(10월25일)까지 올랐다. 인플레이션에 따른 생산 비용 증가로 은행 문을 두드리는 기업이 많아진 가운데 금리 인상 여파로 이자 부담까지 늘면서 기업들은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정부(1.6%)와 한국은행(1.7%), 한국개발연구원(1.8%) 등 국내외 주요 기관이 내놓은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대에 그친다. 연초 또는 연말에 공개하는 수치로는 사실상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전망치다.

 

'불황이 들이닥친다'는 경제전문가들의 예측이 아니더라도 분명 2023년은 장밋빛으로 다가오지 않고 있다. 2023년 새해는 또 다시 '과이불개'를 되풀이하지 않는 희망찬 한해가 되기를 기대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