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2022 수시 마감…일반재정지원 미선정 대학, 수도권 '웃고' 비수도권 '울고'

수도권·지방 주요대 평균 경쟁률 ↑…"수시모집 규모 축소 영향"

교육부 일반재정재원 미선정 대학들 경쟁률 하락

인하대·성신여대 10대1 이상으로 '선방'

 

14일 마감된 022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원서접수 결과 수도권과 지방 주요대학 평균 경쟁률이 상승했다. 사진은 올해 수능을 앞두고 마지막으로 지난 1일 치러진 모의평가에서 한 고등학교 학생들이 문제를 검토하는 모습./뉴시스 제공

14일 마감된 2022학년도 대학 수시모집 원서접수 결과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일반재정지원 미선정 대학들의 희비가 엇갈렸다. 미선정 대학 대부분의 경쟁률이 하락하며 6대 1이하의 경쟁률을 보인 가운데, 인하대와 성신여대는 10대 1 이상의 경쟁률을 보이며 선방했다. 수도권 4개 대학은 경쟁률이 소폭 상승했다.

 

일반대학을 전국적으로 보면, 수도권과 지방 소재 주요대 학 대부분의 경쟁률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수험생 수는 증가한 반면 수도권 대학의 수시모집 규모가 축소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국립대와 교대의 경쟁률도 지난해 대비 크게 올랐다.

 

◆ 교육부 일반재정지원 미선정에도 인하대·성신여대 선전

 

서울, 수도권 소재 대학은 교육부 일반재정지원 탈락에도 불구하고 이번 수시모집에서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의 대학 기본역량진단에서 탈락한 전국 25개 일반대학 가운데 19곳이 2022학년도 대입 수시모집에서 전년 대비 경쟁률이 떨어졌지만, 인하대와 성신여대는 하락폭이 크지 않아 선방했다.

 

인하대의 올해 수시 경쟁률은 14.3대 1(전년 14.8:1)이며, 성신여대는 11.8대 1(전년 12.9)의 경쟁률을 보였다. 수원대 13.5대 1(전년 11.4), 용인대 10.8(전년 8.3), 한세대 10.2(전년 9.6), KC대 5.6(전년 4.2) 등 수도권 4개 대학은 오히려 경쟁률이 상승했다.

 

그러나 일반재정지원 미선정 비수도권 소재 대학 12개 대학은 모두 경쟁률 6대 1 이하를 나타냈다.

 

15일 오전 10시 30분 기준으로 종로학원이 각 대학 수시모집 원서접수 현황을 종합한 결과 대학 기본역량진단에서 탈락한 25개 일반대 가운데 23곳(한일장신대·부산장신대는 비공개)의 평균 경쟁률은 6.7대1로 집계됐다.

 

서울, 수도권 소재 재정지원 탈락 대학들은 정시에서도 큰 영향 없는 반면, 나머지 대학들은 정시에서도 모집 어려움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수험생 입장에서 서울, 수도권 소재 대학은 대학들의 자구 노력, 적극적 대책 마련 등의 신속하게 대응하는 모습이 지원 기피 현상으로 이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지방권 소재 대학들은 수시 6회 지원 감안 시 6대 1 이하는 사실상 미달로 수시 모집 미충원 발생, 정시로 넘어가는 수시이월 인원 증가, 정시 미충원 발생, 추가모집 불가피, 결과적으로 충원에 어려움 겪는 악순환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 주요 대학 경쟁↑…국립대·교대도 경쟁률 반등

 

수도권과 지방 주요 대학의 수시 원서 경쟁률은 전년 대비 상승했다. 15일 유웨이가 2022학년도 수시 원서접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경희대(서울) 27.18대 1(전년도 22.12대 1) ▲고려대(서울) 14.66대 1(전년도 9.54대 1) ▲국민대 9.47대 1(전년도 8.75대 1) ▲서강대 28.84대 1(전년도 26.08대 1) ▲서울과기대 12.22대 1(전년도 11.33대 1) ▲서울대 6.25대 1(전년도 5.63대 1) ▲성균관대 24.31대 1(전년도 21.26대 1) ▲중앙대(서울) 25.85대 1(전년도 23.81대 1) ▲한양대(서울) 25.67대 1(전년도 21.77대 1) 등 상위권 주요대 대부분이 지난해 대비 경쟁률이 상승했다.

 

주요 대학 수시 경쟁률이 상승한 것은 전년 대비 대학별 수시 모집인원은 줄고 고3 수험생 등 지원자는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번 수시에서 약학계열 선발이 처음 진행되면서 대부분 약대 선발 전형의 경쟁률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성균관대 약학과의 논술우수전형은 666.4대 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경희대 약학과(논술우수자 431.63대 1) ▲고려대(세종) 약학과(논술전형 408.9대 1) ▲동국대 약학과(논술전형 583대 1) ▲중앙대 약학부(논술전형 147.25대 1) ▲덕성여대 약학과(학생부100%전형 35.1대 1) ▲삼육대 약학과(일반전형 30.5대 1) 등을 기록했다.

 

전국 10개 교대 수시모집 평균 경쟁률은 지난해 4.9대 1에서 올해 5.8대 1로 더 높아졌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최근 학령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문직으로서 교대에 대한 선호는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연세대(서울)는 지원자가 감소하면서 전년도 18.06대 1에서 올해 14.64대 1로 경쟁률이 하락했다. 논술고사 시행일이 수능 이전으로 옮겨지면서 논술전형 지원자가 크게 줄었고, 학생부종합(면접형) 전형이 학생부교과(추천형) 전형으로 바뀌면서 졸업생 지원이 불가능해진 데다 교과 전형임에도 면접 반영 비중이 높아 부담으로 작용한 탓이다.2022학년도 지방 거점 국립대인 강원대, 경북대, 경상대,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 등 9개교 모두 전년 대비 상승하며 9.5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전년도 평균 경쟁률은 7.94대 1였다. 이만기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수험생 수는 증가했으나 수도권 대학의 수시 모집 인원은 줄어들면서 지방 거점대를 중심으로 한 주요 대학의 경쟁률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