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구독형 콘텐츠 플랫폼 시장 놓고 ‘네이버’ vs ‘카카오’

네이버와 카카오가 구독 콘텐츠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유토이미지

네이버와 카카오가 각각 구독형 콘텐츠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와 '카카오 뷰'를 선보이며 구독형 플랫폼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양대 포털이 구독형 플랫폼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우선 이용자만 구축하면 안정적인 수익모델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구독경제는 MZ세대의 주요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구독경제란 일정액을 내면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공급자가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신개념 서비스를 말한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에 따르면 전 세계 구독 기반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2018년 132억달러(약 14조6000억원)에서 연평균 68%씩 성장해 2025년에는 4782억달러(약 529조3000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결제 필요한 '프리미엄콘텐츠' 선보이는 네이버

 

지난 5월 출시한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네이버

포털사 중 이 시장에 처음 뛰어든 건 네이버이다. 네이버는 유료 구독 서비스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를 시작하면서 언론사 위주로 내용을 구성하며 구독 시장에 처음으로 나섰다.

 

처음 프리미엄콘텐츠에 입점한 언론사는 조선일보(땅집고·프리미엄조선), 동아일보(HBR에센셜·DBR·엣지리포트), 한국경제(경제야놀자), 경향신문(경향noon), 중앙일보(글로벌머니), 매일경제(취업스쿨), 머니투데이(더벨스톡·부릿지·소소소설), 한겨레(코인데스크 프리미엄) 등이다. 최근에는 코리아헤럴드, 비즈니스워치가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에 추가로 합류했다.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는 도입 초창기에 콘텐츠를 유료 정기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로 많은 언론사들의 주목을 받았다. 가능성을 보고 언론사들이 대거 입점해 주목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예상보다 언론사들 실적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이를 개선하고자 모바일 뉴스란에 프리미엄콘텐츠를 띄우며 접근성을 높였다. 그리고 최근 진행한 2차 입점에서는 언론사가 아닌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작가 채널을 추가하며 독자들이 관심 있어 할만한 분야의 콘텐츠를 대거 추가했다.

 

◆카카오, '카카오 뷰' 공개하며 플랫폼 확대 나선다

 

카카오는 지난 3일부터 '카카오 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카카오

카카오는 지난 3일부터 기존 카카오톡 샵(#)탭을 '카카오 뷰(View)'로 바꾸는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카카오 뷰는 다양한 관점이 담긴 콘텐츠를 카카오톡에서 본다는 의미로 개인이 관심있는 콘텐츠를 직접 선택해 볼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카카오 뷰는 현재 유료 결제를 요구하지 않는다. 물론 카카오는 향후 이용자의 후원이나 유료 콘텐츠 발행 등 다양한 수익 모델도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혀서 네이버처럼 유료 콘텐츠도 늘어날 예정이다.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와 다른 점은 콘텐츠 제공자가 언론사 위주가 아니라 더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는 점이다. 특히 주로 글 위주인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와는 달리 전문 유튜버들이 제공하는 동영상 콘텐츠도 볼 수 있다.

 

카카오 뷰는 '뷰'와 '마이 뷰'로 구성돼 있다. 뷰는 나의 취향과 관점에 맞는 보드를 발견하는 공간이다. 경제, 취미, 테크, 건강, 교육 등 총 22개의 주제 카테고리 가운데 관심 있는 주제를 선택하고 각 언론사와 다양한 뷰 에디터를 찾아 취향에 맞는 보드를 구독할 수 있다.

 

경제·시사를 선택한 이용자라면 뉴스레터 서비스 뉴닉이나 경제 유튜버 삼프로TV, 슈카월드, 신사임당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다. 지식·교양을 선택했다면 브런치 작가 '정문정', '세바시' 등 다양한 관점을 가진 인기 에디터와 언론사들의 보드를 뷰에서 구독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구독경제라는 개념 자체가 새롭게 부상하면서 포털들도 그 시장에 뛰어든 것으로 보인다"며 "아직은 결과가 미미할 수도 있지만 일단 생태계를 구축하면 안정적인 수입원이 생긴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콘텐츠 망을 넓혀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