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카드

카드사 '오픈페이' 출격…빅테크 대항마 될까

하나의 앱서 타사 카드 연동…범용성 키워
빅테크 맞서 신규·추가고객 유치 기회

날로 성장하는 빅테크 업계에 대항하기 위해 카드사가 뭉쳤다. 카드업계는 연말까지 카드사 간 간편결제(앱카드)가 호환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하나의 앱에 다양한 카드를 담아 쓸 수 있다는 게 핵심이다. 은행권의 '오픈뱅킹'을 비롯해 네이버·카카오·삼성페이 등 타사 결제와 연동되는 시스템과 비슷한 개념이다. 현재는 각 카드사의 페이 결제 앱에서 자사 카드만 등록해 쓸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한카드의 '신한 페이판' 앱에서는 KB국민카드의 연동이 불가능하며 신한카드만 등록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카드사 간 간편결제 서비스가 마련되면 하나의 간편결제 앱에 타사의 신용·체크카드를 연동해 쓸 수 있어 범용성이 한결 높아진다.

 

여신금융협회는 카드사 간 호환등록을 위해 개발규격 ·표준 API를 개발할 업체를 경쟁입찰한다고 밝혔다. /여신금융협회

지난 5월 카드업계가 이러한 페이 개방 시스템 구축에 합의한 이후 최근 여신금융협회는 '카드사 간 상호 호환 등록을 위한 연동규격 및 표준 API(응용프로그램환경) 개발 추진' 사업에 대한 입찰 공고를 냈다. 오는 27일 대상 업체가 선정되면 본격적인 연동규격과 표준 API 개발이 시작될 예정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간편결제 서비스 하루평균 이용 건수는 1455만 8000건, 이용금액은 4492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44.4%, 4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이 같은 카드업계의 움직임은 네이버·카카오페이 등 빅테크 업체의 간편결제 시스템에 맞서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가 비대면 거래를 가속화하면서 지난해 간편결제 서비스 하루평균 이용 건수는 1455만8000건으로 전년 대비 44.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이 가운데 카카오페이·네이버파이낸셜 등 전자금융업자를 통한 결제가 747만5000건으로 절반 수준을 넘겼다. 금융사를 통한 결제는 258만8000건에 그쳤다.

 

일평균 이용금액 역시 4492억원으로 1년 전보다 41.6% 증가했는데 이 중 전자금융업자를 통한 결제가 2052억4000만원에 달했다.

 

소비주도층으로 떠오르는 MZ세대 역시 빅테크 및 핀테크 플랫폼에 익숙한 것으로 나타나 업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한국핀테크산업협회가 이달 MZ세대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96.2%의 응답자가 간편결제(송금) 이용 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 등 핀테크 플랫폼을 사용한다고 답변했다. 이어 60.4%의 응답자가 은행 앱을, 48.6%가 신용카드 앱을 이용한다고 답했다.

 

카드업계는 이번 페이 개방 시스템에 합의하면서도 실제 참여는 시간을 두고 지켜본 뒤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사실상 하나의 앱에서 모든 결제가 이뤄질 가능성이 커 고객 이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 금융지주계열 카드사의 경우 앱카드에 은행, 증권 등 타 서비스를 연계해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반대의 경우 그렇지 못해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19일 "플랫폼의 범용성을 넓혀 보다 많은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금융지주 계열이 아닌 카드사의 경우 앱카드 내 연계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페이 개방 시스템의 효용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미 카드사별 페이 플랫폼이 마련돼 있지만 영향력이 매우 낮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라며 "빅테크의 입지가 공고해 이 흐름에 대항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페이 개방 시스템 구축을 맡게 될 업체는 최대 3개월간 시스템을 개발해 오는 11월 말까지 호환 등록 규격과 표준 API 개발을 마친다. 이르면 오는 12월이나 내년 초 실제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