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채권·펀드

신용등급,국내에선 우량...해외 나가면 찬밥신세?





무디스 등 글로벌 신용평가사의 기준을 적용하면 국내 기업 '신용 인플레'가 우려 수준이란 지적이다. 특히 해외 신평사로부터 받은 등급이 국내보다 최대 8계단 낮은 기업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신평사의 평가 신뢰성에 여전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7일 KB증권에 따르면 일반 기업에 대한 글로벌 신평사와 국내 신평사의 평균 등급(Notch)차는 6.0에 달한다. 다만 수준도는 3등급 차이에서 최대 8등급까지 다양하다.

캐피탈·카드사의 평균 등급차도 6등급 가량이다. 은행의 경우 특수은행은 2등급, 시중은행은 4등급 정도이다.

공사·공단은 2.4등급으로 큰 차가 없다. 영위 사업의 공공성과 정책적 중요성을 감안, 정부 지원가능성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신용등급별로도 격차가 컸다.

'AA-'등급은 3.0 등급의 격차를 보였다. 'AA'등급은 2.0등급차였다. 'A+'(4.0등급), 'A'(5.0등급) , 'A-'(5.2등급), 'BBB+'(6.0등급), 'BBB'(6.5등급), 'BBB-'(7.5등급) 등 하위 등급으로 갈수록 등급차가 컸다.

전문가들은 등급 격차가 큰 이유로 국내 신용평가 체계의 구조적 문제점을 꼽는다. 신평사들은 기업의 신용등급을 평가해주는 대가로 그 회사에서 수수료를 받는다. 그래서 돈을 주는 '고객'의 신용등급을 낮게 평가하기 어렵다. 더구나 신평사들은 신용등급을 떨어뜨릴 경우 그 기업을 회생 불능 상태에 빠뜨릴 수 있다는 점을 부담스러워한다.

신용평가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신평사는 해당 기업의 국내 경쟁력만 따지고 모기업의 지원 등 한국 대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해 신용등급을 매긴다"며 "평가 수수료가 국내 신평사의 주 수입원인 현실에서 대기업 집단의 입김이 평가에 반영될 수밖에 없는 시장구조도 신용등급 거품형성에 한몫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글로벌 신평사와 국내 신평사의 평가 방법 자체가 달라 큰 의미를 부여하기 힘들다는 지적도 있다.

KB증권 전혜현 연구원은 "글로벌 신평사의 등급조정이 국내 신용등급 및 등급전망의 방향성에 있어 참고 지표는 될수 있지만, 조정해야 할 이유는 아니다. 국내외 신용평가사의 등급 체계와 평가방법론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면서 "해외 신용평가사의 방법론은 다양한 국가의 기업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다양한 국가에 속한 기업들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가 반영됐다. 반면, 특정 국가의 산업적 특성이나 기업의 특성은 잘 반영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소버린 리스크(sovereign risk·국가 신용 위험) 반영 여부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의 등급과 국내 신용평가사의 등급은 공통적으로 부도율에 기반해 'AAA'에서 'D'까지 등급별로 각기 다른 신용위험 수준을 나타낸다. 하지만 국내 신용평가사의 등급에는 대한민국의 부도 가능성을 반영하지 않는다. 암묵적으로 국내 신용평가사의 대한민국 신용등급은 'AAA'로 간주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