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2025년 04월 11일 (금)
유통>소비자

[창간 14주년 기획]"14년간 시민의 동반자...신문찾는 시민들께 감사"

[메트로신문] 메트로신문 배포도우미 정장일씨는 메트로신문이 수많은 무가지 중 유일하게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로 기사의 질을 꼽았다. 정씨는 "특히 지난해 말부터 경제기사 위주로 사회 현안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신문의 가치가 재정립됐고, 또 소시민을 타깃으로 독자 눈높이에 맞춘 지면 구성 덕분에 메트로신문을 사랑하는 독자들이 많아졌다"고 말했다./이봉준 기자



"신문 다 나갔어요?"

지난 5월 19일 오전 8시 10분 지하철 2호선 잠실역 8번 출입구 앞. 서울 시민 노 모씨(43)가 텅 빈 메트로신문 가판대를 가리키며 물었다.

"예. 오늘자 신문이 다 소진됐습니다. 많이 준비하지 못해 죄송합니다."

메트로신문 배포도우미 정장일 씨(76)가 노씨에게 멋쩍은 웃음을 지어 보였다.

"이럴 때가 제일 아쉬워요. 오전 7시 배포와 함께 빠르면 한 시간만에 신문이 다 나가버리니까. 조금 늦게 출근하는 이들은 (메트로신문의)텅 빈 가판대만 보게 되는 거죠."

지난 2002년 5월 창간 이후 무려 14년 동안 메트로신문은 매일 아침 한결같이 서울 시민들의 출근길을 책임졌다. 메트로와의 지하철 출근길에 익숙해진 시민들에게 메트로신문은 매일 아침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이날 송파구에 거주하는 노 씨는 "아내가 첫째 아이를 낳던 해, 메트로신문이 창간됐다"며 "스마트폰 등 전자통신이 발전하면서 신문을 멀리하는 젊은 친구들이 많은데, 아침 등굣길만이라도 공짜로 배포되는 메트로신문을 보며 세상 돌아가는 사안을 두루 살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자가 메트로신문 배포도우미 정 씨와 만난 당일은 유난히 역 앞이 출근길 시민들로 북적였다.

"잠실역은 서울 지하철 중에서도 혼잡도가 극심한 곳이죠. 이 곳에서 6년 간 매일 새벽 일어나 오전 6시 반쯤 도착해 7시 신문 배포를 준비했습니다."

정 씨는 11개의 잠실역 출입구 중 3곳에 가판대를 설치했다. 한 번에 신문을 모두 가져다 놓는 것이 아니라 50부 정도씩 꺼내 놓곤 시간마다 돌아가며 가판대에 신문이 떨어지지 않았는지 살폈다. 신문이 비어 있으면 다시 신문을 가져다 놓는 식이었다.

정씨는 "세 곳을 번갈아 살피며 떨어지면 다시 채워놓는 방식으로 신문을 배포하고 있다"며 "개인적으로 운동도 되고, 시민들도 얼마 남지 않은 신문량을 보곤 얼른 하나씩 채갈 수 있도록 나름의 전략을 세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잠실역은 특히 유동인구가 많아 순환이 빠른 편"이라고 덧붙였다.

기자는 이날 7시 10분쯤 역 앞 가판대에 도착했다. 정씨는 분주히 가판대를 돌며 신문을 나르고 있었다.

"배포를 시작한지 10분이 지났는데, 벌써 한 차례 '턴(turn)'하고 이제 두 번째 배포를 준비 중입니다. 오늘은 날씨도 좋아 시민들이 금방 신문을 가져가는 것 같아요."

그러고 보니 추운 겨울이나 비 또는 눈이 오는 궂은 날씨일 경우 신문이 한편에 쌓여 있는 것을 몇 번 본 적이 있었다.

정씨는 "확실히 날이 궂으면 시민들이 추워서 주머니에서 손을 안빼거나 손에 우산 등 든게 많아서 신문을 안 가져갑니다"며 "그러나 한 번도 신문이 남은 적은 없어요. 조금 늦게라도 신문이 모두 떨어집니다"고 설명했다.

정씨는 6년이라는 긴 시간 매일 아침 메트로신문을 배포하며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도 전했다.

"노인들이 용돈벌이하느라고 신문을 뭉텅이로 가져가 폐휴지로 팔아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가끔 나에게 발각되면 호통을 치곤 하는데, 예전에 한 번 말싸움으로 이어져 경찰까지 출동한 적이 있죠. 특히 무료신문이 많았던 5년 전까지만 해도 이런 일이 빈번했어요."

정씨는 또 배포 시작 전부터 신문 뭉치를 뜯고 가져가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6시 반에 나오면 신문이 잠실역 앞에 묶음으로 쌓여 있는데 그걸 나눠 7시 정각부터 배포를 시작합니다. 가끔 저보다 일찍 나오는 시민들이 일찍부터 신문 뭉치를 뜯어 (신문을)가지고 가더라구요. 찢어진 뭉치를 발견하면 당황스럽죠. 비라도 오는 날엔 신문이 젖어 있기도 하고."

정씨는 무료신문 가운데 유일하게 살아남은 메트로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다.

"손자 용돈이나 주자는 생각으로 메트로신문 배포도우미 일을 시작했어요. 다만 긴 시간 함께 하고 또 마지막까지 (수많은 무료신문 중)살아남아 이렇게 오늘날까지 메트로신문을 배포할 수 있다는 것에 회사에도 감사하고, 또 건강한 나 자신에게도 고마울 따름입니다."

메트로신문이 수많은 무료신문 가운데 유일하게 살아남은 이유는 뭐라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시민들과 가장 가까이 만나는 배포도우미로서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을지 궁금했다.

정씨는 "기사의 질이 좋더라"며 "특히 지난해 말부터 경제기사 위주로 사회 현안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신문의 가치가 재정립됐고, 또 소시민을 타깃으로 독자 눈높이에 맞춘 지면 구성 덕분에 메트로신문을 사랑하는 독자들이 많아졌다"고 전했다.

정씨는 메트로신문에 대한 애정만큼 아쉬운 점도 없지 않았다.

"확실히 예전 '무료신문 전성시대'와 비교하면 메트로신문의 발행부수나 배포 지역, 배포도우미 수 등이 많이 줄었어요. 향후 경쟁력이 다시 살면 신문 발행부수 등을 늘려 더 많은 시민과 함께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메트로신문에 대한 희망도 놓지 않았다.

"근래 들어 오늘 아침처럼 신문이 일찍 떨어지면 신문 없냐고 묻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러한 메트로신문 애독자들 덕분에 메트로의 미래가 밝지 않을까 싶어요."

이날 배포도우미와 함께 두 시간여를 함께 움직이다 보니 배포를 마감할 때쯤 기자의 한 쪽 다리가 뻐근해졌다. 정씨에게 체력적으로 힘이 들진 않은 지 물었다.

"전혀 힘들지 않습니다. 오히려 배포 도중 남는 시간에는 근처 공원에서 맨손체조도 하고 또 운동 삼아 이 일을 시작한 만큼 오히려 매일 아침 큰 보람을 느끼죠. 건강이 허락되면 언제까지고 도우미로서 역할을 다하고자 합니다."

오전 9시 신문 배포 종료와 함께 도우미 정 씨도 퇴근을 준비했다. 공식적인 배포 마감시간은 오전 9시라 시간 맞춰 퇴근을 하지만, 당일만해도 신문은 오전 8시쯤 일찌감치 배포가 완료됐다.

"오늘은 날이 좋아 평소보다도 더 빠르게 신문이 떨어졌네요. 더 많은 시민들에게 신문을 전달하지 못해 아쉽고, 메트로가 앞으로 더욱 승승장구하며 서울 시민들의 아침 지하철 출근길을 오래도록 지켜줬으면 좋겠습니다."

초록(草綠)의 배포도우미 옷을 벗고 퇴근하는 정 씨에게서 시큼한 땀내음이 났다. 정 씨의 땀내음을 맡으며 문득 매일 아침 최전선에서 시민들과 만나는 메트로 배포도우미들의 노고(勞苦)를 생각해서라도, 더 나은 기사로 독자들과 소통해야겠다 다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