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2025년 04월 11일 (금)
증권>시황

<4차 산업혁명 은행 변해야 산다 >(6)끝 관건은 개혁

"세계 10위권의 경제규모를 가진 우리나라가 아프리카 국가들과 비슷한 80위권의 금융 경쟁력을 갖고 있다. 크라우드펀딩, 인터넷전문은행 등을 속도감 있게 도입해 핀테크 강국으로 발돋움해야 한다"(세계경제포럼(WEF) 박근혜 대통령)

"은행·증권·보험 각 금융업권간은 물론 정보기술(IT)과 금융 등 이종업종간에도 융합현상이 활발해지면서 핀테크, 디지털 파괴, 우버 모멘트와 같은 신조어들이 회자되고 있다. 국내 금융회사들이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를 얼마나 성공적으로 헤쳐 나갈 수 있을지가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다"(임종룡 금융위원장)

금융개혁의 속도가 떨어지고 있다. 정부가 은행권의 보신주의 영업 관행 타파, 규제와 감독체계 개편 등 금융권의 형식을 바꾸는데 개혁의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기대 만큼 진도를 빼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스스로 변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낸다. 과도한 정부 역할을 줄이고 민간에 맡겨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정부주도로는 한계, 소통이 중요

국회입법조사처는 20대 국회의 가장 시급한 과제 경제·노동분야와 함께 금융 개혁을 꼽았다.

구정모 강원대 교수는 최근 국회입법조사처 주최로 열린 '20대 국회 정책과제'를 주제한 세미나에서 "한국 금융시장의 낙후성을 막을 수 있는 입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인섭 국회입법조사처 경제산업조사실장은 "금융감독체계 개편 등을 통해 금융이 적극적으로 실물경제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금융시장의 개혁없이는 한국경제의 미래도 보장할 수 없다는 절실함이 묻어있다.

정부도 금융개혁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정부 주도의 개혁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소통을 강조한다.

김홍범 경상대 경제학과 교수는 "호주가 최근 추진중인 금융개혁에서는 정부에 의해 임명된 순수 민간위원회가 처음부터 이해관계자들과의 개방적이고 투명한 협의 과정을 거쳐 개혁안을 마련했다"면서 "이후 전개될 개혁 이행 단계의 성공확률을 크게 높였다"고 지적했다.

스스로 변하려는 노력도 중요하다.

임종룡 위원장은 "금융기관이 변화를 위해 스스로 노력하지 않으면 반쪽짜리 개혁에 그칠 것"이라면서 "금융당국이 일일이 개입하지 않더라도 금융기관 스스로 내부통제시스템을 강화하고 법규 준수와 리스크 관리를 수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은행, 고객 중심의 혁신 필요

시장 안팎에서 금융개혁의 목소리가 커진데는 다 이유가 있다.

지난 2014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에서 국내 금융업(75조 5580억원)이 차지하는 부가가치 비중은 5.09%에 그쳤다. 2008년 GDP(1104조 4920억원)에서 금융업 비중이 5.88%(64조 9280억원)였던 것을 감안하면 금융업의 경쟁력은 해마다 뒷걸음질치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전 세계에서 거둬들인 순이익은 19조 601억원이었다.

시장 환경도 은행 스스로 변하지 않고서는 살아남기 힘든 구조로 가고 있다.

세계적인 컨설팅업체 매킨지의 '글로벌 뱅킹 연차보고서(Mckinsey Global Banking Annual Review)'에 따르면 핀테크 업체들은 오는 2025년 은행 소비자금융 매출의 40%, 수익의 60%를 앗아갈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했다. 지급 결제 분야에서는 은행 매출의 30%, 수익의 35%를 잠식할 것으로 예상했다. 자영업자 대출에서도 매출의 25%, 수익의 35%를 가져갈 것으로 내다봤다. 자산관리(WM) 분야는 은행 매출의 15%, 수익의 30%를 잠식하고 주택담보대출은 매출의 10%(수익 20%)를 은행으로부터 빼앗을 것으로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은행이 살아 남으려면 고객중심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혁신을 위한 과제로 ▲은행 조직문화 변경 ▲고객에게 감성적으로 소구하는 브랜드 구축 ▲개인화된 고객경험 제공 등을 주문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이재은 연구원은 "금융서비스의 디지털화가 보편화하고 고객의 온라인 선호가 증가하면서 핀테크로의 고객 이동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소비자금융, 지급결제, 중소기업 대출 및 자산관리 등 리테일 비즈니스에서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된다"며 "은행업이 이 경쟁에서 생존하려면 부단한 기술혁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
HOT NEWS
'크보빵' 터졌는데 롯데자이언츠만 없다, 이유는?
'크보빵' 터졌는데 롯데자이언츠만 없다, 이유는?
'평생 보장' 종신보험, 중도해지 속출 진짜 이유는?
'평생 보장' 종신보험, 중도해지 속출 진짜 이유는?
로또 '100억' 대박 터졌다...구매처는 서울?
로또 '100억' 대박 터졌다...구매처는 서울?
트럼프 관세폭탄에 애플 '직격탄'…삼성은 일단 한숨 돌렸다
트럼프 관세폭탄에 애플 '직격탄'…삼성은 일단 한숨 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