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2025년 04월 11일 (금)
증권>시황

[은행 변해야 산다] (4)블록체인, 금융 유통비용 줄인다

[메트로신문] 자료=우리금융경영연구소



'나카모토 사토시'. 이달 초 지난 호주 브리즈번 출신의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는 자신이 '비트코인'의 개발자로 알려진 '나카모토 사토시'라고 밝혀 화제가 됐다. 그를 두고 세상은 진짜가짜 논란에 휩싸였다. 비트코인재단 핵심 관계자들이 그를 개발자라고 확인해 논란의 종지부는 찍었다.

비트코인은 지난 2009년 '미래의 화폐'라는 극찬을 들으며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는 생소하지만 세계 최대의 온라인 쇼핑몰인 아마존과 이베이가 비트코인 결제를 지원하면서 북미를 중심으로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디지털 가상화폐 '비트코인'보다 핵심기술인 블록체인(Block chain)이 더 핫(Hot) 하다. 전통의 금융 체계를 무너뜨릴 기술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신한·KEB하나·국민·우리은행 등 국내 은행들이 외환, 송금 서비스 등에 속속 블록체인을 도입하고 있다.

◆은행, 블록체인 기반 기술 도입

블록체인은 거래 명세를 담은 '블록(Block)'들이 '사슬(Chain)'로 이어져 하나의 장부를 이룬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새롭게 거래가 이뤄질 때마다 그 거래 내용이 담긴 새로운 블록이 만들어져 기존에 있던 블록에 연결되는 식이다.

인호 고려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블록체인은 인터넷 처럼 금융분야에서 중간 유통자 없이 생산자와 소비자를 바로 연결하는 분산처리 기술로 금융 유통 비용을 줄이고,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은 올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비대면실명확인 증빙자료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비대면실명확인 증빙자료 보관' 시스템을 구축했다. 모바일에서 입출금통장을 개설할 경우 비대면 실명확인을 위해 신분증과 이체내역 확인정보 등을 온라인상에서 증빙하게 된다.

하나금융은 국내 최초로 글로벌 블록체인 컨소시엄인 'R3 CEV'에 참여했다. 지난해 9월 결성된 이 컨소시엄에는 씨티그룹, 뱅크오브아메리카, JP모건체이스,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UBS 등 43개 글로벌 금융회사들이 참가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글로벌 송금 ▲보안인증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할 계획이다.

신한은행은 핀테크 기업인 스트리미와 협력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외환송금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신한은행은 오프라인 창구 서비스를 대체할 무인점포 '디지털키오스크'의 생체인증 시스템에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거래 안전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NH농협은행은 국내 최초 원화 비트코인 거래소인 코빗과 지난해 블록체인 기술 개발 제휴를 맺었다.

◆공동 인프라 구축 및 협업 추진 필요

국제금융센터 주혜원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금융권의 블록체인 도입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는 만큼 국내 은행권도 공동 인프라 구축 및 협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비트코인을 경계하던 글로벌 투자은행(IB)들도 블록체인은 적극 받아들이고 있다.

지난해 9월 모건스탠리, JP모간체이스, 골드만삭스 등 22개 글로벌 은행은 'R3CEV'와 제휴, 블록체인 시스템 개발 및 국제 표준화 작업에 착수 했다.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비트코인과 달리 은행끼리만 거래할 수 있는 가상화폐를 만들겠다는 목표다. 이들은 블록체인을 송금 등 금융거래 이외에도 주식, 채권, 부동산 거래 등에 적용할 계획이다.

국제금융협회(IIF)는 "블록체인 기술이 상용화되는 과정에서 규제 및 법적 체계(framework)가 없어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또 반대로 규제 증가가 블록체인의 성장을 제약할 가능성도 동시에 존재한다"고 말했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비트코인 및 블록체인 관련 투자는 4억 달러로 지난체 전체 투자액을 웃돈다. 반면 핀테크 투자는 50억달러로 지난해보다 둔화 됐다.

정유신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에 적용되려면 전산시스템과 전자금융거래법, 감독규정 등을 개정해야 한다"며 "서둘러 블록체인 연구와 개발에 나서고 세계 은행들이 은행연결망 구축을 위해 구성한 R3프로젝트와 협력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