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2025년 04월 13일 (일)
오피니언>칼럼

[안상미 기자의 '와이, 와인(Why, wine)']<61>커피 한 잔 값으로 와인 한 병

[메트로신문] 대형마트 저가와인 공세
 

image
​안상미 기자

 


4800원, 4900원, 5900원, 6900원.

아이스 아메리카노, 카페 라떼, 돌체 콜드 브루, 초코 크림 프라푸치노의 가격인가 했더니 아니다. 대형마트들이 앞다퉈 내놓은 저가와인들의 가격이다.

롯데마트의 '나투아 스페셜 셀렉션 카베르네소비뇽'과 '샤또 르 팽 프랑'이 각각 4800원, 5900원이며, 이마트의 '도스코파스'와 'G7'이 각각 4900원, 6900원이다. 커피 한 잔 가격이면 와인 한 병을 마실 수 있는 셈이다.

와인애호가들의 행복한 고민이 시작됐다. 저가와인의 선택범위가 넓어졌다. 와인애호가라도 비싼 와인만 먹는 것은 아니다. 자주, 그리고 그만큼 더 많이 먹기 때문에 가성비 좋은 와인에 대한 관심은 더 높을 수밖에 없다.

현재 와인 뿐만 아니라 전통주를 제외한 주류는 통신판매가 금지돼 있다. 불편했던 규제가 오히려 기회가 됐다. 와인을 사려면 꼭 오프라인 매장으로 나가야만 했고, 대형마트 입장에서는 온라인 채널에 빼앗긴 고객을 되찾기 위해 싸고도 맛있는 와인은 꼭 갖춰야 할 필수 아이템이 됐다.

 

 

 

image
​(왼쪽부터)롯데마트 나투아 스페셜 셀렉션 카베르네소비뇽, 샤또 르 팽 프랑. /안상미 기자


대형마트 저가와인의 원조는 사실 이마트다. 국민가격이라며 4900원에 내놓은 도스코파스 이전에 이미 10년 전부터 G7이 있었다.

지난 2009년 출시된 G7은 10년째 병당 6900원을 고수하고 있다. 데일리 와인이라고 해도 1만원 안팎이 최선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가격이었다.

G7은 지난 2017년부터 한 해 판매량이 100만병을 웃도는 '밀리언 셀러' 반열에 올랐다. 4900원의 도스코파스의 탄생을 가능케한 100만병 개런티도 G7의 경험에서 나왔을 것으로 보인다.

이마트의 선공에 롯데마트는 도스코파스보다 100원 싼 4800원 와인과 와인 종주국 프랑스산으로 반격에 나섰다. 특히 이마트가 가격을 낮추기 위해 자체상표(PB) 와인을 연구했다면 롯데마트는 기존 와인을 현지가보다 싸게 가지고 왔다.

샤또 르 팽 프랑은 지난 2018년 현지 '길버트 앤가이야르' 평가에서 금메달을 수상한 와인이다. 멀롯과 카베르네소비뇽, 그리고 소량의 카베르네프랑을 섞어 만들었다. 프랑스 현지에서도 6000원대에서 1만3000원대에 팔리고 있는데 국내에서 최저가보다 더 산 5900원에 내놨다. 맛은 싼 와인이라 참을 만한 거슬리지 않는 수준이 아니다. 프랑스 와인 등급 AOC에 걸맞게 신선한 붉은 과실의 향과 함께 타닌과 산도는 부드러웠다.

도스코파스(Dos Copas)는 스페인어로 '두 잔'이라는 뜻이다. 만원도 채 되지 않는 가격에 다른 두 병의 와인을 맛볼 수 있다는 말이다.

칠레에서 생산된 '도스코파스 카버네소비뇽'은 카버네소비뇽 품종 100%로 만들었다. 품종 특유의 과실미와 탄닌을 느낄 수 있었지만 복합미나 무게감보다는 가볍게 먹기 좋은 정도였다.

스페인에서 생산된 '도스코파스 레드 블렌드'는 템프라니요와 가르나차(그르나슈)를 섞어 만들었다. 붉은 과실향이 풍부한 가운데 부드럽고 깨끗해 특별한 안주없이도 홀짝거리기 좋은 맛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