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몬테스 타이타, 몬테스 알파 엠, 몬테스 폴리, 몬테스 퍼플 앤젤, 몬테스 알파 카버네 소비뇽, 몬테스 클래식 카버네 소비뇽, 몬테스 알파 블랙라벨 카버네 소비뇽, 몬테스 리미티드 셀렉션, 몬테스 스파클링 앤젤, 몬테스 슈럽 로제, 몬테스 트윈스, 몬테스 레이트 하비스트
처음엔 '그란 레세르바'라고 불렀다. 당시 칠레 대부분의 와인들이 그랬든 스페인 와인 숙성 규정의 최상급인 '그란 레세르바'라는 이름을 가져다 썼지만 창업자들의 마음엔 영 못마땅했다. 어느 와인에나 다 쓸 수 있는 평범한 이름보다는 그들만의 열정과 비전을 알릴 수 있는 뭔가 특별한 이름을 주고 싶었다. 고심 끝에 그리스어의 첫 번째 글자를 가리키는 '알파'를 선택했다. 알파는 영어의 A에 해당하는 말로 첫째, 처음이란 의미다. 그렇게 '몬테스 그란 레제르바'가 아닌 '몬테스 알파'가 됐다. 와인은 몰라도 몬테스알파는 안다는 그 몬테스알파다.
몬테스 와인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누적 판매량 1000만병을 넘어섰다. 단일 브랜드로는 부동의 1위다. 첫번째, 처음이란 뜻의 알파 이름값을 한국에서도 톡톡히 해낸 셈이다.
이력도 화려하다. 2003년과 2019년 한·칠레 정상회담 만찬주로 모두 몬테스가 선정됐고, 2005년 부산 APEC 만찬과 2011년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칠레 국빈 방문 기념 만찬에도 몬테스가 테이블에 올렸다.
당분간은 어떤 와인도 넘보지 못할 국민와인으로 자리매김한 비결은 크게 두 가지다.
먼저 쉽다.
한국 사람들에게 와인이 어렵고, 복잡불편한 존재였다면 몬테스알파는 부르기도, 기억하기도 너무나 쉬웠다. 마시는 것도 어렵지 않았다. 기껏 고른 비싼 와인이 막상 따라보면 텁텁해 마실 시기나 조건을 따져야 했지만 몬테스 알파는 그런 고민없이 언제, 어떻게 먹어도 괜찮았다. 적당한 무게와 잘 짜여진 구조덕에 어릴 때는 어린대로, 숙성됐을 땐 또 그 나름대로 매력을 보여줬다.
다른 이유는 중저급이라는 칠레 와인에 대한 편견을 깨버리는 맛이다.
몬테스는 아무도 칠레가 국제 무대에서 양질의 와인을 선보일 수 있는 것이라고 믿지 않았던 1980년대에 고품질 와인을 만들기 위해 모험을 감행했다. 당시 몬테스가 제 정신이 아니라고 하는 이들이 대부분이었지만 새로운 지역, 새로운 품종, 새로운 농법에 대한 도전은 칠레 프리미엄 와인의 시작이 됐다.
'몬테스 폴리'는 몬테스 도전의 상징과도 같은 와인이다. 몬테스가 칠레 최초로, 그것도 경사 45도의 산중턱을 깎아 시라 품종을 심었을 때 사람들이 던진 어리석다(Folly)는 조롱이 지금은 당당히 와인의 이름이 됐다.
몬테스의 도전은 계속 되고 있다. 산티아고에서 1200㎞ 남쪽으로 떨어진 파타고니아에 포도밭을 일군 이른바 '파타고니아 프로젝트'다. 서늘한 기후의 파타고니아에서는 소비뇽 블랑을 비롯해 리슬링, 샤도네이, 피노 그리, 피노 누아, 게뷔르츠트라미너 등 주로 화이트 품종을 심어 연구와 시험이 진행 중이다. 파타고니아의 테루아는 어떤 향과 맛을 담고 있을까. 첫 빈티지가 2019년, 바로 올해 나온다.
,자료도움=나라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