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150년 만에 베일 벗은 경복궁 중건 역사

'경복궁 영건일기' 중 광화문 현판 설명 부분(일본 와세다대 소장), "광화문 현판[서사관은 훈련대장 임태영] 묵질(墨質)에 금자(金子)"라고 쓰여 있다./ 서울역사편찬원



서울역사편찬원(편찬원)은 '경복궁 영건일기'를 국내 최초로 국문으로 번역해 발간한다고 13일 밝혔다.

경복궁 영건일기는 경복궁 중건 내용이 담긴 유일한 자료로 알려졌다. 편찬원은 "서울 역사를 대표하는 장소인 경복궁은 고종 때 중건됐지만 구체적인 역사상은 베일에 싸여 있었다"며 "중건에 관한 직접적인 사료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경복궁 영건일기는 1868년부터 3년 넘게 진행된 경복궁 공사 과정과 내용을 한성부 주부 원세철이 남긴 기록물(총 9책)이다.

편찬원은 경복궁 영건일기를 통해 궁궐 현판에 관련된 정보, 경복궁 안의 물길 체계. 전각의 역할 및 건립과정 정보 등을 확인했다.

궁궐의 현판은 복원할 때마다 많은 논란이 있었다. 편찬원은 "영건일기는 고종 때 경복궁 전각이 어떤 재료와 색상으로 제작했는지 기록했다"며 "이를 통해 현재 광화문, 건춘문, 영추문의 오류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경복궁 영건일기 번역책임자 배우성 서울시립대 교수는 "경복궁 안의 6개의 수문, 4개의 물길, 두 갈래의 도회은구도 확인했다"며 "그 어떤 도면과 문헌자료도 경복궁의 수문과 물길 도회은구(배수로)를 '경복궁 영건일기'만큼 정확하게 보여주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침전이나 신하 접견소로 알려졌던 경복궁의 연길당과 응지당은 강녕전의 동서 퇴선간으로 음식을 데워서 수라상을 들이던 중간부엌이었다는 사실도 파악했다. 강녕전·연생전·경성전은 원래 하나의 전각으로 건립하려다 분리한 사실도 최초로 확인했다.

편찬원은 "경복궁에 경희궁 등 궁궐 전각의 목재들을 활용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라며 "'경복궁 영건일기'에는 궁을 중건할 때 궁궐이나 관청 시설을 활용했을 뿐 아니라 주변의 대저택들을 매입하거나 원납 받은 사실이 기록돼 있다"고 전했다. 저택이나 부지는 중건 관련 관서의 부속 시설 등으로 활용했는데 어디의 누구의 집인지까지 구체적으로 기록했다.

궁궐 공사에 필요한 석재(石材)는 서울 삼청동, 동소문 밖, 옥천암, 영풍정 부근에서 가져왔다. 삼청동에서는 돌을 떼어낸 뒤 옮기기 위해 300명의 군사를 동원했으며, 동소문 밖에서 돌을 옮길 때는 수레에 45마리의 소가 필요했다. 옥천암에서 광화문 홍예의 주춧돌을 옮길 때는 25마리의 소가 수레를 끌었는데, 혜경교를 지나다 다리가 무너지면서 인부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편찬원은 오는 17일 오후 1시 서울역사박물관(야주개홀)에서 제18회 서울역사학술대회 '경복궁 중건의 역사, 첫 장을 열다'를 개최한다.

학술대회는 기미지마 가즈히코(도쿄가쿠게이대 명예교수)의 특별강연 "한일관계사에서 본 경복궁"을 시작으로 총 4개의 주제발표로 구성됐다. 홍순민 명지대 교수, 유승희 충북대 강사, 조재모 경북대 교수, 김윤주 서울시립대 연구원 등이 발표자로 나선다.

경복궁 영건일기 번역본은 서울의 주요 공공도서관에서 열람할 수 있다. 서울책방에서 구매 가능하다. 향후 서울역사편찬원 홈페이지에서 전자책으로 만나볼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