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파이터치硏, '자동화와 고령층 일자리' 분석[/b]
[b]대인서비스등 비반복 직업, 자동화속도 느려[/b]
[b]반려견 도우미, 간병인, 사회복지사등 '유망'[/b]
4차 산업혁명 등으로 자동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고령층에겐 반려견 도우미, 사회복지사, 숲해설가, 장애인 활동도우미 등의 직업이 유망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인서비스 등 비반복적인 일을 하는 이들 직업이 자동화 촉진 속도를 줄여 생계를 이어가야 할 고령층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정부도 고령화 속도가 빠른 우리나라의 상황을 심각하게 인식, 고령층을 단순노무 종사자 등 자동화로 대체되기 쉬운 반복적 노동보다는 비반복적인 노동으로 유도하기 위해 관련 직업 교육에 더욱 많은 신경을 써야한다는 지적이다.
파이터치연구원이 12일 내놓은 '자동화와 고령층 일자리'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55세 이상 고령층의 46.7%는 기계조작 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 등 반복적 육체노동에서 주로 일하고 있다. 반면 비반복적 육체노동 비중은 22.1%에 그쳤다.
이런 상황에서 파이터치연구원은 고령층이 반복적 또는 비반복적 육체노동에 일정 부분 종사할 경우 자동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유한나 선임연구원은 "비반복적 육체 노동지표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25% 수준일 때 고령화 지표 1% 증가시 자동화 지표가 0.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반복적 육체 노동지표가 (OECD의)75% 수준일 때 고령화 지표 1% 증가시 자동화 지표는 0.83%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더라도 고령층이 비반복적인 업무를 많이 할 수록 자동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진행돼 로봇 등에 당장 일자리를 뺏길 우려가 적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결국 거스를 수 없는 자동화시대에서도 비반복적 육체 노동이 고령층에 적합한 일자리라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라는 설명이다.
반면 연구원은 반복적 육체 노동지표가 OECD 국가들의 25% 수준일 때 고령화 지표 1% 증가시 자동화 지표가 1.18% 줄어들지만, 75%까지 노동지표가 상승하면 자동화 지표가 0.06%로 부(-)에서 정(+)으로 전환된다고 덧붙였다.
고령층이 반복적 육체노동을 많이하면 할 수록 자동화로 대체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유 선임연구원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우리나라에 적용할 경우 고령층의 반복적 육체 노동비중이 1% 증가할 때 일자리 자동화는 4%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고령층의 특성이 반영된 대인서비스 분야의 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동시에 고령자들이 기존 일자리 정보시스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통합하고 홍보도 절실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