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년 도민의 개인적 소망은 소득증대(24.3%), 사회적 소망은 일자리 창출(23.5%)이 1위로 꼽혀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노선 추진(36.7%), 경기도형 청년배당(31.5%) 등의 정책 인지도 높아
- 19년 중점적으로 추진할 정책으로 '맞춤형 일자리 연계사업', '공유경제 활성화' 등 10개 정책 선정
경기연구원은 6일 경기도민의 새해 소망과 2018년 정책에 대한 도민의 인식을 조사하고, 2019년 10대 중점 어젠다를 제시한 '2019년 경기도민의 희망과 10대 어젠다'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난 12월 경기연구원은 경기도민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사회인식조사(모바일 설문, 신뢰도 95% 오차범위 ±3.10%)를 실시했다. 그 결과, 2018년 한 해 동안 경기도민의 기억에 남은 가장 큰 개인적 이슈는 '남북관계(7.8%)', '취업 및 창업(4.9%)', 사회적 이슈는 '남북정상회담(15.6%)', '남북관계(12.3%)' 등으로 개인적 경험과 사회적 문제가 혼재되어 나타났다.
2019년 새해의 개인적 소망으로는 '소득 증대(24.3%)'를 꼽은 사람이 가장 많았다. 이와 더불어 지난 한 해 동안 '워라밸', '소확행'이라는 단어가 각광받은 만큼, '마음의 평온(19.4%)'과 '여행(14.2%)'과 같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인식도 다소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소망으로는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23.5%)'이 가장 높았으며, '물가안정(20.9%)', '미세먼지 저감(20.8%)', '범죄자 처벌 강화(14.6%)'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교하여 계속되는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해결요구가 높아진 점과, 최근 PC방 살인사건, 이수역 폭행 등과 같은 범죄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범죄자 처벌 강화' 요구가 높아진 점이 특징이다.
도민들이 선정한 2019년 중점 10대 정책은 ▲맞춤형 일자리 연계사업 지원 ▲사회적경제 및 공유경제 활성화 ▲노인 소득지원 및 노인일자리 확대 ▲영아 보육료, 아동수당 등 공공교육 및 아동복지 강화 ▲공공의료 강화 및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수도권 환승 지원 등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환경 조성 ▲청년, 신혼부부 등을 위한 주거안정 지원 강화 ▲범죄로부터 안전한 지역환경 조성 ▲소방장비 보강, 소방관서 신축 등 재난재해예방 및 대응체계 강화 ▲노동권익센터 설치 등 노동자 권익보호 및 근무환경 조성 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