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메가 히트 상품 탄생스토리]농심 새우깡

새우깡/농심



[메가 히트 상품 탄생스토리]농심 새우깡

"손이 가요 손이 가~ 새우깡에 손이 가요~."

대한민국 사람이면 누구나 아는 광고음악, 농심 새우깡의 광고 주제곡이다. 새우깡은 올해로 출시 47주년을 맞았다. 1971년 12월 출시된 이래로 지금에 이르기까지 새우깡 고유의 맛은 변함이 없다. 이제는 새우스낵의 한 종류이기보다 국민스낵, 국민안주, 국민먹거리로 불리는 고유명사 '새우깡'이 더 그럴싸하다.

광복 이후 국민들의 굶주림이 채 가시기도 전 '스낵'이라는 존재는 시장에서 생소했다. 하지만 농심은 철저한 연구와 기획을 통해 새우깡을 내놨고, 소비자들의 입맛을 단숨에 사로잡았다. 새우 원료의 조달, 바삭함의 정도, 짠맛과 단맛의 비교 등 당시 농심의 연구개발력을 총 동원한 제품이 바로 새우깡이다.

새우깡(1971)/농심



◆국내 최초 스낵 '새우깡'

1971년 당시의 제과업체들은 비스킷, 캔디, 건빵 등을 주로 생산하면서 스낵에 대해서는 인식조차 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절에 농심은 물리지 않으면서 부드러우며 싼 값에 어린이에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손쉽게 먹을 수 있는 제품이라면 성공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스낵이라는 부담 없는 형식과 '새우'라는 친숙한 맛을 결합시키는 시도를 했다. 우리 민족 고유의 간식인 '옥수수 뻥튀기, 쌀뻥튀기' 등에서 착안해 원료를 고소하게 튀기면 충분히 상품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새우깡은 생산되기가 무섭게 팔려나갔다. 지방영업소에서는 선금을 들고 찾아오는 도소매점주들로 성시를 이루었다. 당시 서울 대방동 공장에는 물건을 가져가기 위해 지방에서 올라온 트럭들로 장사진을 이루기도 했다. 첫해 생산량은 20만6000박스였지만, 다음해는 20배가 증가한 425만박스가 생산됐다.

새우깡 생산공장/농심



◆새우깡 개발 에피소드

새우깡을 개발하기 위해 당시 농심 연구원들은 1년간 밤을 새워가며 연구에 몰두했다. 개발에 사용된 밀가루 양만도 4.5t 트럭 80여대 분에 이를 정도였다. 1970년대 초반 경제 상황을 감안하면 실로 엄청난 양이 아닐 수 없다. 이렇게 밀가루가 많이 들어간 까닭은 새우깡의 시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튀김온도가 적절치 않아 수도 없이 태우는 과정을 반복했고, 또 가장 먹기에 적당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강도 실험만도 수백 번이나 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과자를 만들 때 기름에 튀겨내지만, 새우깡은 가열된 소금의 열을 이용해 튀겨내는 파칭(Parching)법을 창안해 새우 함량에 따른 최적의 맛과 조직감을 창출해 냈다. 그 결과 경쟁사들은 모방제품을 만들어내기에 바빴지만 외형은 모방할 수 있어도 맛과 품질은 결코 모방할 수가 없었다. 특히 일반 파칭과 달리 식물성 기름인 팜유를 뿌려준 상태에서 파칭하는 독특한 기술을 발전시킴으로써 더욱 고소하면서도 짭짤한 맛을 창조해냈다. 이러한 농심의 눈물과 땀은 애초에 기대했던 맛의 제품을 만들어내게 하였고 오늘날까지 장수할 수 있는 비결이 됐다.

'새우깡'이란 브랜드명은 사람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갔다. 우리의 음식 이름 가운데 '깡밥', '깡보리밥' 등에서 따온 '깡'이라는 말은 순박한 이미지로 사람들에게 다가갔다. 사실 새우깡이라는 브랜드명은 개발 당시 농심 신춘호 사장의 어린 딸이 '아리랑'을 '아리깡~ 아리깡'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힌트를 얻었다. 당시 새우스낵, 새우튀밥, 새우뻥, 서해새우 등 갖가지 이름이 거론됐지만 이거다 싶은 게 없었는데, 어린 딸이 잘못 발음한 '아리깡'에서 '아리'를 떼고 '새우'를 붙여봤더니 신기하게도 잘 어울렸다. 신춘호 사장은 새우와 깡을 결합해 '새우깡'이라고 이름을 지은 것이다.

새우깡 모델 남주혁/농심



◆인기비결

아마 어릴 때부터 먹어온 새우깡의 맛과 추억일 것이다. 새우깡은 생새우로 만들어 새우의 풍미를 고소하게 느낄 수 있고, 국민 누구나 먹어도 물리지 않는 특유의 맛이 특징이다. 개발 당시 다양한 재료를 고민했으나, 결국 한국인이 좋아하는 고소한 새우소금구이 맛을 살리자는 게 적중했다. 고소하고 짭짤한 맛은 남녀노소 질리지 않고 유행을 타지 않는다. 때문에 어린 시절 새우깡을 먹고 자란 사람들이 성장하면서 어른이 된 지금에도 새우깡을 찾는 것이다.

여기에 "손이 가요 손이가~ 새우깡에 손이 가요~"로 유명한 새우깡 광고도 소비자들에게 새우깡을 더욱 친근하게 느껴지게 했다. 이처럼 새우깡은 특정 시대, 특정 계층의 스낵이 아닌, 대한민국 남녀노소가 즐겨 찾는 인기스낵으로 자리잡았다.

1971년 출시 후 첫 제작한 새우깡 CF에는 희극인 故김희갑씨가 출연했다. 이후 송해, SES, 이종석 등 20여 명의 스타들이 새우깡 광고모델로 활약했다. CM송은 1988년부터 지금까지 사용되며, 광고음악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평가 받고 있다.

대다수 과자류의 수명이 얼마 되지 않는 것을 감안할 때 반세기 가까이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새우깡은 가히 경이적인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새우깡의 누적판매량은 80억봉을 넘어섰다. 현재 새우깡은 연간 약 700억원의 매출로 스낵시장을 리드하고 있다.

또한 새우깡은 아시아에서 남미 대륙까지 전세계 70여 개국에 수출되고 있는 글로벌 스낵이다. 40년 넘게 이어온 브랜드 파워를 인정받아 세계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중국 타오바오몰에 입점했으며, 미국 대표 오프라인 유통업체인 월마트에서도 판매되고 있다.

깐풍새우깡/농심



◆익숙함에 새로움을 더하다

농심은 지난 5월 새우깡 브랜드의 신제품 '깐풍새우깡'을 출시했다. 깐풍새우깡은 센 불에 재료를 빠르게 볶아내는 중국식 '깐풍' 조리법에서 착안한 제품이다. 짭조름하고 고소한 새우깡의 맛과 간장을 볶아 새콤달콤한 깐풍소스의 맛이 색다른 조화를 이룬다.

농심은 최근 새로운 맛을 찾는 스낵시장 트렌드에 발맞춰 깐풍새우깡을 개발했다.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기 보다는 기존의 익숙한 제품에 색다른 맛을 더하는 제품 개발 방식에 따른 것이다. 농심은 스낵시장 최장수 제품인 새우깡에 요즘 대세인 중국 스타일의 맛을 더해 친근함과 새로움을 주고자 했다.

농심은 새우깡에 어울리는 새로운 맛을 연구하던 중 최근 인기를 더하고 있는 중화요리 트렌드에 주목했다. 훠궈, 마라탕, 마라룽샤 등 이전에는 생소했던 중국음식이 젊은이들에게 외식메뉴로 인기를 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간장으로 맛을 낸 '깐풍기' '깐풍새우' 등은 한국인 입맛에 익숙한 중국 인기메뉴이기도 하다.

농심은 깐풍새우깡으로 국민스낵 새우깡 인기에 힘을 더해나갈 계획이다. 농심 관계자는 "새로운 맛을 찾는 젊은 소비자에게 신선한 이미지로 더욱 가깝게 다가가며, 스낵시장 큰형님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져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깐풍새우깡 출시로 새우깡 브랜드는 새우깡(1971년)과 매운새우깡(2000년), 쌀새우깡(2004년)을 포함해 총 네 종류가 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