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안상미 기자의 '와이, 와인(Why, wine)']한국인은 화이트와인을 싫어한다?

/안상미 기자



"와인을 가지고 오는 손님들은 거의 대부분 레드와인을 들고 오시더라구요. 무슨 특별한 이유라도 있는 걸까요?"

와인을 직접 가져가도 무료로 서비스를 해준다는 콜키지 프리(corkage free) 레스토랑에 갔더니 셰프가 던진 질문이었다. 오랜 기간 이탈리아 현지 레스토랑에서 일했다는 그는 한국에 와보니 백이면 백 모두 레드와인만 가져오는 것이 너무나 이상했다고 한다. 그러고 보니 우리가 마시겠다며 가지고 간 와인도 모두 레드 일색이었다.

한국사람이 유난히 레드와인을 선호하는 것일까. 아니면 화이트와인을 싫어하는 것일까.

와인업계에서도 화이트와인의 판매는 풀기 어려운 숙제라고 한다. 화이트와인의 판매량은 여전히 레드와인 대비 절대적으로 약세다. 햇와인인 보졸레누보부터 인기를 끌기 시작한 레드와인은 프랑스 보르도를 거쳐 이탈리아와 미국, 칠레까지 스펙트럼을 넓혔지만 화이트와인은 제자리 걸음이다.

먼저 와인의 비싼 가격이 화이트와인을 소외시키게 된 출발점이다.

우리나라는 주류에 붙는 세금이 높은데다 유통구조도 복잡하다. 와인가격이 생산된 현지는 물론 일본 등 주변국보다도 유난히 비쌀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식전주로 화이트와인부터 시작해 디저트 와인까지 이어지는 서양의 코스 문화를 따라하는 것은 애초부터 무리였다. 식사와 함께 와인을 마시는 경우 대부분 화이트와인을 생략하고 메인 요리에 맞춰 레드와인 두 세가지 만을 마시게 됐다.

건강 상식도 레드와인 선호에 한 몫을 했다.

와인 시장이 열리던 초기 와인업체들은 레드와인에 들어있는 폴리페놀 성분이 심장병을 예방하고 노화를 방지한다고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프랑스인들은 육식을 좋아하지만 와인을 자주 마시기 때문에 심장병 발생률이 낮고 장수를 한다. 바로 '프렌치 패러독스'다.

폴리페놀은 많은 가정에서 매일 저녁 와인 한 잔을 즐길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했지만 반대로 와인 선택의 범위는 레드에 한정시켜 버리고 말았다. 레드와인은 많이 마셔서 취하더라고 뭔가 건강에 도움이 될 거 같은데 화이트와인은 정말 술만 진탕 마시고 말았구나 싶은 찝찝한 느낌이랄까.

사실 한국 음식과 폭넓게 먹기 좋은 와인은 레드보다는 화이트다. 한식은 양념이 진해서 진한 레드와인이 어울릴 것 같지만 어느 음식이든 빠지지 않는 매운 맛에는 화이트와인이 소방수 역할을 해줄 수 있다. 명절 때 고소한 기름냄새를 풍기는 전과도 상큼한 화이트와인이 제격이다. 신선한 해산물이라면 날 것으로 먹어야 하는 우리에게 화이트와인은 환상적인 궁합을 선사할 수 있다.

건강상으로도 이점이 있다. 레드와인에 폴리페놀이 있다면 화이트와인에는 몸의 생기를 돋게 해주는 유기산이 있다. 식전주로 많이 쓰이는 이유다. 무거운 음식 없이 가벼운 과일이나 와인 자체만으로 먹기도 좋다.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대하와 전어, 굴 등이 제철을 맞았다. 화이트와인이 빛을 발하기 좋은 계절이기도 하다.

'에멀로 소비뇽 블랑'(왼쪽부터)은 샐러드나 훈제연어와 어울려 식전주로 하기 좋다. 따뜻한 해산물 메인요리라면 '몬테스 알파 블랙라벨 샤도네이'가 제격이다. 레드와인에 뒤지질 않을 묵직한 무게감을 느낄 수 있다. 닭고기나 생선구이라면 '산타 마게리타 피노 그리지오', 제철을 맞은 굴요리엔 역시 부르고뉴 샤블리인 '윌리엄 페브르'다.



, 자료협조=나라셀라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