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2025년 04월 18일 (금)
사회>지역

㈜찬율, 보이미(BOIM E) DID 솔루션 출시

- 보이는 것으로 고객 마음 움직이는 단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

[메트로신문] ㈜찬율에서는 쉽게 빠르고 다양하게 중앙통제 및 컨텐츠 업로드를 할 수 있는 모바일 버전인 보이미 매니저를 국내 최조로 출시했다. (사진/㈜찬율)



4차 산업혁명 사물인터넷(IOT) 분야를 주도하고 있는 ㈜찬율(대표이사 안재중)이 최근 보이미(BOIM E)라는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솔루션을 출시해 화제다.

㈜찬율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및 SI, 전자 메뉴판 솔루션 등 다양한 솔루션 개발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회사다.

'보이는 것으로 고객의 마음을 움직이는 단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보이미를 탄생시킨 ㈜찬율의 안재중 대표는 보이미가 지닌 차별화된 컨셉으로 '쉽고, 저렴하고, 다양하게'라는 키워드로, 대기업 및 대형 프렌차이즈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영업을 전개하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카페의 디지털 메뉴 보드, 음식점의 디지털 POP, 지하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광고 게시판 등 상업 매장이나 공공장소에서 뛰어난 화질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 광고, 프로모션을 홍보할 수 있는 디지털 마케팅의 한 영역이다.

또한, 패션 및 뷰티 매장에서도 화려한 비주얼의 광고로 소비자의눈길을 끄는 아이캐칭 도구로, 마트나 백화점과 같은 유통 매장에서는 디지털 가격표 등으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패션 및 뷰티 매장, 마트나 백화점과 같은 유통 매장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사진/㈜찬율)



㈜찬율의 다양한 디지털사이니지 소프트웨어 강점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사 환경에 따라 커스트마이징이 가능하고 고객사에 적합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이미 웹과 모바일 버전을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 관리 및 에디터 기능, 컨텐츠 제작기능 등이 포함된 웹 방식과 세팅부터 컨텐츠 업로드까지 5분도 채 걸리지 않는 쉬운 모바일 버전까지 각 환경에 맞게 사용 가능하다.

두번째 강점은 국내 최초로 중앙통제 및 컨텐츠 업로드를 할 수 있는 모바일 버전인 '보이미 매니저(BOIM E Manager) 어플리케이션' 출시로, 기존의 장비의 세팅 및 설치 시 사용했던 보이미 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기존의 리모콘 어플리케이션 기능뿐 아니라 원격으로 장비를 관리, 제어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 장소에 관계없이 PC를 사용할 필요없이 모바일로 편리하게 장비 및 솔루션을 관리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세번째 강점은 손쉽고 직관적인 UI/UX 다. 전문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1시간 내외의 교육을 통해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솔루션이다. 이러한 보이미 솔루션을 통해 고퀄리티의 업종별 컨텐츠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니 ㈜찬율을 통해 HW, SW, 컨텐츠, 설치 유지보수까지 디지털 사이니지원스톱 솔루션을 제공 받을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
HOT NEWS
'크보빵' 터졌는데 롯데자이언츠만 없다, 이유는?
'크보빵' 터졌는데 롯데자이언츠만 없다, 이유는?
'평생 보장' 종신보험, 중도해지 속출 진짜 이유는?
'평생 보장' 종신보험, 중도해지 속출 진짜 이유는?
로또 '100억' 대박 터졌다...구매처는 서울?
로또 '100억' 대박 터졌다...구매처는 서울?
"강남·용산 월 10만원대" 청년안심주택 올해 첫 모집
"강남·용산 월 10만원대" 청년안심주택 올해 첫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