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뷰티

"난 '홈케어' 한다"…진화하는 뷰티 홈케어

"난 '홈케어' 한다"…진화하는 뷰티 홈케어

LG전자의 LG 프라엘 더마 LED 마스크(왼쪽부터 차례대로), 토탈 리프트업 케어, 갈바닉 이온 부스터, 듀얼 모션 클렌저/LG전자



집에서 관리하는 '셀프 뷰티족' 늘어나

화장품 넘어 뷰티 디바이스 강세

저렴한 가격대·전문성과 편리함 갖춰 인기

'셀프 뷰티족'이 해마다 늘어나면서 뷰티 홈케어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화장품을 넘어, 홈케어에 특화된 기능성 제품, 뷰티 디바이스의 인기도 상승했다.

국내 뷰티 디바이스 시장 규모는 2016년 3000억 원, 2017년 4500억 원으로, 최근 수 년간 꾸준히 10% 이상 성장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국내 뷰티 디바이스 시장 규모는 5000억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셀프 뷰티족'이 화장품에서 관리 기기로 관심의 폭을 확대하면서 국내 뷰티 디바이스 시장도 고속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피부샵에서나 볼 수 있었던 뷰티 전문 기기들이 소비자들의 안방을 차츰 점령해가는 가운데, 소비자들의 취향을 겨냥한 제품들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가격 대비 성능과 기능 등이 천차만별인 만큼 제품 간 경쟁도 더욱 치열해졌다.

메디앤서 콜라겐 리프트업 밴드/어바웃미



#안방이 피부샵으로

집에서 가장 간단히 할 수 있는 피부 관리는 '팩'을 이용하는 것이다. 얼굴에 간단히 씌우면 되는 마스크팩부터 피부에 직접 바른 뒤 씻어내는 팩까지 종류는 다양하다.

팩의 인기는 여전히 식을 줄 모른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순히 화장품을 이용해 관리하는 것을 넘어 전문 기기, 기능성 제품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들도 늘어났다. 전문 기기를 통해 집에서도 피부 탄력과 근육 등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진 것이다.

대표 인기 제품은 LED(발광 다이오드) 마스크다. 의료용 LED 광선 미용기기에 비해 효과는 적지만, 집에서 전문적으로 피부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다.

LED 마스크는 LED가 피부에서 생화학적 반응을 촉진하는 원리를 이용해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광선요법을 사용한 미용기기다. LG전자의 프라엘 '더마 LED마스크', 셀리턴 LED마스크 등 100만원이 넘는 고가의 제품부터 중저가 제품까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최근 LED 마스크를 10만원 대에 구매해 사용하고 있다는 이모(29) 씨는 "집에서 피부과, 피부샵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전문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한다"고 전했다.

마스크형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한다. 온라인 상에서는 LED, 고주파, 레이저 조사 원리 등을 적용한 제품을 사용해 피부 탄력 케어에 효과를 봤다는 후기들을 볼 수 있다.

간단히 붙이는 것만으로 고기능 스킨 케어의 효과를 내거나, 마스크팩에 지압 효과를 담는 기능성 제품도 인기다. 어바웃미의 더마케어 라인 메디앤서 '콜라겐 리프트업 밴드'의 경우,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ESB 밴드를 적용해 턱에 분이기만 하면 리프팅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밖에도 눈가, 입가 등 얼굴 부위별로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제품을 비교·구매하는 '셀프 뷰티족'들의 손길은 더욱 바빠졌다.

데싱디바



원텍 가정용 탈모치료기 헤어빔 에어



#네일·헤어도 '셀프 관리'가 대세

최근 H&B 매장에서 빠질 수 없는 인기 품목이 있다면 바로 붙이는 네일 제품이다.

'데싱디바'를 주축으로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자극하고 있다. 롭스에 따르면 '데싱디바', '젤라또팩토리', '다이애나 젤팁' 등 3가지 브랜드의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

네일숍 보다 저렴한 가격, 붙였다 떼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이용법이 붙이는 네일 제품의 인기 요인이다. 통상 네일숍에서 관리를 받을 때, 한 번에 4~5만 원 가량이 소비되는 데 비해 붙이는 네일은 1만원 안팎에 구매가 가능하다.

직장인 손모(30) 씨는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붙이는 네일 제품을 구매했는데 편리함에 반했다"며 "다소 짧은 유지 기간이 아쉽지만 가격대가 저렴한 만큼 아깝진 않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미용실에 가지 않고 집에서 두피·모발 관리에 힘쏟는 이들도 늘어났다. 헤어 팩, 헤어 트리트먼트 등 관련 제품을 찾아 집에서 손쉽게 클렌징부터 마사지까지 해결하는 것이다.

탈모 치료에 효과적인 헤어빔 의료기기 등 두피·모발 등을 겨냥한 디바이스들도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다.

홈케어를 위한 가정용 뷰티 디바이스들이 점차 다양화 되는 가운데,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뒤따른다. 그럼에도 국내 뷰티 홈케어, 디바이스 시장은 장기 경기 침체, '가성비'의 유행 등을 업고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장기 불황과 가성비, 가심비를 앞세운 소비 심리가 활발한 만큼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뷰티 홈케어 시장도 확장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