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가습기살균제와 비슷한 라돈침대 사태



[기자수첩]가습기살균제와 비슷한 라돈침대 사태

'라돈침대' 사태로 소비자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대진침대 매트리스에서 방사성 물질인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됐고, 중국에서 수입된 라텍스 침대에서도 고농도 라돈이 나왔기 때문이다.

라돈은 폐암의 원인 중 하나다. 우리가 사는 집 주변에서 노출될 수 있는 방사선을 내는 물질이다. 라돈에 노출된 흡연 경험자의 폐암 위험은 노출되지 않은 흡연경험자보다 높지만, 흡연하지 않아도 라돈 노출은 폐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기 중 라돈 노출농도가 낮을수록 암의 발생 위험이 낮아진다고 전해진다. WHO(세계보건기구)는 라돈을 폐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 1급 발암물질로 지정했다.

이번 라돈침대 사태는 업체의 '모럴해저드', 정부의 '안전불감증'으로부터 나왔다. 이에 제2의 가습기살균제 사태라고 말한다. 대진침대와 정부의 확실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라돈침대 문제의 최초보도 이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차 조사 결과를 통해 '방사능 기준치 이하'라고 밝혔다. 그러나 반박 보도 및 지속적인 논란이 일자 2차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결함제품으로 확인된다'며 1차 조사 결과를 뒤집었다. 그러면서 1차 조사 때는 침대 매트리스의 '스펀지'가 포함되지 않았고, 2차 조사 때 스펀지가 포함되면서 수치가 늘어났다는 해명했다. 처음부터 호흡기와 직접 맞닿는 제품에 대한 평가기준조차 없었던 것이다.

또 10년 전에 만들어진 대진침대에서 라돈이 나오는 게 확인됐다. 지난 2007년 생산된 대진 침대 뉴웨스턴 슬리퍼 모델의 라돈 농도를 간이 측정한 결과 주택 실내 기준치를 넘는 254베크렐이 나왔다. 간이 측정한 방사능 수치는 시간당 0.724마이크로시버트, 연간 피폭량으로 환산하면 기준치인 1밀리시버트의 6.6배에 달한다. 그동안 원안위가 조사해 기준치를 넘겼다고 발표한 침대는 전부 2010년 이후 생산분이었다. 이에 원안위는 기준치를 초과한 모델에 대해서는 생산연도와 관계없이 전체 수거 명령을 내렸다고 해명했다. 오락가락하는 원안위에 대한 국민의 불신은 높아졌다.

결국 국가인권위원회가 '라돈침대' 사태 등 위해 제품 논란과 관련해 정부의 소극적 대응 태도를 비판하며 사후 조치가 아닌 사전 예방책 마련에 나설 것을 권고했다. 인권위는 "최근 침대 매트리스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검출되고, 이 제품 원료로 사용된 모나자이트가 음이온 팔찌 등 다양한 제품 생산업체에 공급됐지만 정부는 유통 실태 등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정부의 방사능물질 관리에 구멍이 났다. 가장 시급한것은 소비자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문제의 제품을 전량 수거해, 라돈침대의 사용을 중단하는 것이다. 지금이라도 정부는 문제의 제품에 대한 전수조사와 폐암 발병 가능성 관련 의학조사를 수행하고, 소비자들의 건강피해 관련 피해규명과 보상 등을 철저하게 하는 확실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