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전문가 등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짊어질 핵심인력들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는 등 인력난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면서 줄어들 수 밖에 없는 육체노동자 등의 비중은 OECD보다 높았다.
너나 할 것 없이 4차 산업혁명을 외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인력'이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것이다.
이에 따라 에스토니아처럼 초등학교 때부터 소프트웨어를 단독 교과로 편성해 관련 인재를 조기에 키우고 정보통신분야 관리자도 더 많이 육성하는 등의 노력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11일 파이터치연구원이 펴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핵심인력 현황 및 개선방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력으로 꼽을 수 있는 비반복적 인지노동자, 즉 핵심인력 가운데 전문가 비중은 2016년 현재 우리나라가 21.6%로 OECD 회원국 29곳 평균(42.2%)의 절반에 그쳤다. 이는 가장 낮은 터키(21%)와도 비슷한 수준이다.
반면 룩셈부르크는 59.4%로 전문가 비중이 가장 높았고 스위스(52.6%), 노르웨이(52.6%), 스웨덴(52.1) 등 유럽국가가 주로 상위에 올랐다.
비반복적 인지노동이란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나 기업 최고경영자(OEO) 등을 말한다.
핵심인력 중 관리자 비중은 에스토니아가 12.1%로 전체 중에서 1위를 기록했다. 호주도 11.4%로 높았다. OECD 평균은 6.5%다. 반면 한국은 1.3%로 29개국 중 꼴찌였다.
이런 가운데 음식점 종업원 등이 속하는 비반복적 육체 노동과 부품조립원 등이 포함되는 반복적 육체 노동 비중은 한국이 각각 22.5%, 25.1%로 OECD 평균인 17.6%, 16.5%를 크게 웃돌았다.
파이터치연구원 유한나 연구원은 "특히 2011년부터 2016년까지 핵심인력 비중은 포르투갈이 24.3%, 스웨덴이 11.1%, 독일이 3.3% 각각 늘었지만 한국은 0.5%로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OECD는 이 기간 평균 5.8% 늘었다.
게다가 2016년 기준으로 전체 정보통신 전문가 부족률은 2.8%이고, 이 가운데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가(3.6%), 웹 전문가(3.5%), 컴퓨터 시스템 설계 전문가(2.8%) 등이 상대적으로 많이 부족했다.
유 연구원은 "근로계약서 표준화, 관리감독 강화 등을 통해 소프트웨어 분야 근로자들의 열악한 근무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면서 "유럽연합의 MSCA 인력교류 프로그램처럼 해외 기관과의 연구협력을 통해 과학·공학 박사들이 국내에서도 자신의 능력발휘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