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기술력·무한 혁신·기부까지…지역 경제 살리기 앞장서는 소상공인 2題

찐빵장사서 체험 카페까지 '슬지네찐빵', '스마트공장'으로 도약 꿈꾸는 '해풍'

【부안·고창(전북)=김승호 기자】차원이 다른 소상공인들이 여기 있다. 고향의 토종 농산물을 활용해 먹거리를 생산, 글로벌 시장을 노크한다. 최고의 제품을 만들기 위한 뚝심과 노력은 당연하다. 판로와 마케팅 확대를 위해 늘 혁신한다. 개구리 올챙이 시절 생각을 하며 소상공인의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 사업을 시작한 스토리는 각자 다르지만 자기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위한 목표는 같은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배고파서 시작한 '찐빵장사', 지금은 가족기업으로 성장

전북 부안의 곰소염전 바로 옆에는 김갑철 대표와 아내, 둘째 딸, 막내 아들(왼쪽 첫번째부터)이 함께 운영하는 '슬지네찐빵'이 있다. '슬지'는 둘째 딸의 이름이다. 슬지네찐빵엔 일반인이 빵 만들기 체험을 할 수 있는 제분소와 곰소염전의 석양을 바라보며 차를 마실 수 있는 카페가 있다. /사진=김승호 기자



전북 부안 진서면 곰소염전. 서해안고속도로 줄포IC를 빠져나가 내소사와 변산반도 국립공원을 가기 위해 30번 지방도를 달리다보면 우뚝솟은 변산과 함께 펼쳐진 국내 최고의 소금밭이 눈에 펼쳐진다.

소금으로 유명한 전남 신안 염전에서 나온 것보다 곰소 소금은 서너배가 비쌀 정도로 품질이 뛰어나다. '소금이 달다'라는 말은 이곳 소금을 맛보고서야 이해가 간다.

그런데 곰소염전 바로 옆에 3층 높이의 하얀 카페형 건물이 지나가는 이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이곳 2층에서 바라보는 곰소염전의 석양은 또 압권이다.

부안에서 18년째 찐빵장사를 하고 있는 김갑철 대표와 식구들이 체험장과 카페를 겸해 만든 '슬지네찐빵'이다. 찐빵집이 진화해 부안 지역의 대표 명소로 탈바꿈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슬지'는 김 대표의 둘째딸 이름이다. 세 명의 딸에 이어 막내 아들까지 1남3녀를 둔 그는 먹고 살기 위해 찐빵장사를 시작했다.

번듯한 공기업에 다니던 그는 IMF 직후인 98년에 회사를 그만둬야 했다. 마흔둘 나이였다. 무엇을 할까 고민하던 김 대표는 닭을 키우기 시작했다. 9만4000만 마리를 키워 출하를 앞두고 있던 그는 날벼락을 맞았다. 출하 하루를 앞두고 폭설이 내리는 바람에 닭을 키우던 비닐하우스가 모두 무너져내린 것이다.

"아내와 네 명의 자식을 먹여살릴 길이 막막했다. 돈을 벌기 위해서가 아니라 먹고 살기 위해 찐빵을 만들어 팔았다. 기술을 배우려고 찐빵으로 유명한 강원도 안흥까지 갔었다."

김 대표가 당시를 회상했다. 먹는 장사를 하다보니 다행히 배는 곯지 않았다. 그러나 자식들 가르치는 것은 버거웠다. 마을금고에서 일수돈을 받아 자녀들 학자금을 내야 했다.

고비를 넘긴 찐빵 장사는 본궤도에 올랐고, 입소문이 퍼지면서 전국으로 팔려나갔다. 그뿐만 아니라 일본, 영국, 캐나다, 베트남, 필리핀에도 찐빵을 수출한다.

그냥 찾아온 행운이 아니었다. 슬지네찐빵은 100% 우리밀을 사용한다. 국산팥은 물론이다. 주변에서 나는 현미쌀, 단호박, 뽕잎모싯잎, 오디복분자, 흑미 등도 모두 찐빵의 재료로 쓰인다. 모두 부안의 특산물이다.

김 대표는 "우리밀은 글루텐이 부족해 빵 재료로는 부적합하다. 하지만 기술개발을 통해 이를 극복했고 여기에 발효종, 누룩, 효소 등을 첨가해 빵맛이 부드럽고 속이 편한 간식으로 만드는데 성공했다. 찐빵 만큼은 대한민국에서 내가 제일 잘 만든다고 자부한다"며 활짝 웃었다. 김 대표가 개발한 자연효소를 활용한 제조법은 특허 등록을 마쳤고, 한국신지식인 인증도 받았다.

슬지네찐빵은 지금 또 다른 도전을 하고 있다. 딸들의 제안으로 찐빵공장에 카페를 만들고, 여기에 체험까지 더한 공간으로 꾸며 고객들을 맞이할 계획이다. 본격적인 오픈은 8월 예정이다.

빵맛이 어떻냐는 질문에 김 대표는 "먹을만 하다"는 말로 대신했다. 더할 것도, 그렇다고 뺄 것도 없다는 투다.

김 대표는 지역의 어려운 학생들을 돕기 위해 매달 10만원씩의 장학금을 기부하고 있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자신이 만든 빵을 들고는 주변의 노인들을 찾아나선다.

"새로 만든 카페에 많은 분들이 찾아와 소통하고 힐링을 했으면 하는 바람으로 공간을 꾸미고 있다. 한 때는 '마이너스 인생'을 살았던 내 자신이지만 주변의 이웃들을 생각해 늘 기부하며 '100년 기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나갈 계획이다. 손자에게 부끄럽지 않은 할아버지가 되는 것이 나의 꿈이다."

◆자존심 하나로 지켜온 회사, '독창성' 승부수

사회적기업 해풍 신광석 대표가 전북 고창 본사 사무실에서 '고구마 말랭이' 등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김승호 기자



'고구마 말랭이'로 NS홈쇼핑, 홈앤쇼핑 등에서 소비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사회적기업 해풍의 신광석 대표(사진). 해풍이 한 해 소비하는 고구마만 약 600톤(t)에 달한다. 해풍 본사가 위치한 전북 고창에서 생산되는 고구마가 연간 1000t 정도인데, 이 가운데 해풍이 300t 가량을 갖다 쓴다. 나머지는 고창을 벗어나 전남 해남, 경기 여주, 충청도 등에서 조달한다.

고구마에 관해서 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올해 42살인 신 대표가 고구마를 사업 아이템으로 정하기까진 우여곡절이 많았다.

"건축과를 졸업하고 났더니 아버지께서 건조공장을 지어주고 거기서 사업을 하라고 했다. 27살때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했다. 가락시장에 건어물 납품하는 것이 첫 사업이었다. 굴비 등 지금까지 취급한 품목만 30여 가지가 넘었다. 12년간 적자와 현장유지를 반복했다. 그러다 찾은 것이 고구마다."

무엇보다 고구마는 수급이 용이했다. 또 해풍의 건조설비가 뛰어나 가공 능력도 충분했다. 게다가 반찬시장보다 간식시장의 성장성에 주목했다.

신 대표는 "고구마 말랭이만큼은 대기업에 뒤쳐지지 않을 제품을 만들 자신이 있었다. 해풍은 방부제를 안 쓴다. 다른 업체는 어떻게 하는지 모른다. 그러나 우린 안 쓴다. 우리나라 최초로 기존 고구마말랭이를 변경해 자동화에 성공도 했다. 그런데 나중에 모 대기업에서 카피 제품을 내놓더라(웃음)"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자존심 하나로 버텼다. 지난 16년간 직원들 월급 한 푼 밀린 적도 없었다.

"독창성 없으면 죽쒀서 개주는 경우를 많이 봤다. 결국 아이덴티티가 기업의 생명이라고 생각했다. 16년간 회사를 운영할 결과 나는 절대 재벌이 될 가능성이 없었다. 죽을 때까지 소상공인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자존심 세우면서 떳떳하게 장사하고 싶다."

그러면서 신 대표가 늘 주문처럼 되새기는 말이 있다. '소상공인이 돈이 없지, 자존심이 없는 것은 아니다.'

신 대표는 요즘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추가 성장도 꿈꾸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