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치매, 예방과 조기 검진으로 뇌 건강 지키세요"

윤지영 이대목동병원 신경과 교수/이화의료원



영화 '내 머리 속의 지우개', 드라마 '천일의 약속', 소설 '엄마를 부탁해' 세 작품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여주인공이 모두 '치매 환자'라는 사실이다. 치매는 소설이나 영화 속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5일 보건복지부의 중앙치매센터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12분마다 한 명씩 치매 환자가 발생한다. 약 65만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대한민국은 현재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662만4000명인 고령화 사회에 속한다. 내년엔 노인 인구가 14%를 육박하는 고령 사회로 진입할 예정이다. 이처럼 노령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치매 환자도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자료에 의하면 치매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2011년 약 29만명에서 2015년 약 46만명으로 늘어났다. 보건복지부는 치매 환자가 2024년에는 100만명, 2041년에는 200만명이 넘을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치매는 성별 구분 없이 발생하나 유독 여성의 유병률이 높다. 심평원의 자료에 의하면 치매로 진료 중인 환자 중 여성 환자는 무려 72%를 차지하는데 이는 남성 환자와 약 2.5배에 달한다.

윤지영 이대목동병원 신경과 교수는 "치매는 단순한 노화 현상이 아니라 다양한 이유로 인지 능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라며 "치매에 여성이 취약한 이유는 남성(79세)에 비해 평균 기대수명이 6.5년 더 길어 절대적으로 고령 인구수가 많고, 과거 남성에 비해 학력과 사회활동 정도가 낮으며 그에 따른 대뇌 활동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노화로 인한 신경 세포 기능 저하의 보상이 상대적으로 덜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폐경 이후 여성 호르몬 분비 저하로 인해 에스트로겐의 신경계 손상에 대한 보호 작용이 중단되는 점도 치매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치매의 원인 질환은 매우 다양하다. 그 중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뇌에 쌓여 발생하는 '알츠하이머병', 뇌졸중 후에 발생하는 '혈관성 치매', '루이체 치매'가 가장 대표적인 원인에 속한다. 치매 원인 질환은 연령 구간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심평원 자료에 따르면 50대 이상 환자의 경우 알츠하이머병이 72.2%로 독보적이나, 50세 미만의 경우 알츠하이머병이 39.9%, 혈관성 치매가 26.9%로 양분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처럼 비교적 소수이지만 젊은 층에서도 퇴행성 또는 혈관성 치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치매의 증상과 원인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여러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초기 치매와 건망증을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주변에 치매가 의심되는 사람이 있거나 본인이 치매인지 걱정이 될 때는 평소 자주 진료를 보는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평소 자주 진료를 보는 의사의 경우 해당 환자의 병력에 대해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있는지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다. 이후 의사와의 상담 결과에 따라 치매 관련 전문 의사의 진료를 받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치매 진단이 내려지면 치료 계획을 세우게 된다. 치매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비약물적인 치료로 나뉘며 증상 완화와 병의 급속한 진행 억제,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유지에 초점을 맞춘다.

윤 교수는 "치매의 특성상 시간이 지날수록 환자보다는 보호자가 치료 주체가 되는데 초기 치매인 경우 환자는 스스로 치매 걱정을 하다가도 증상이 심해지면서 치매를 부정하며 치료를 거부하고 보호자는 치료를 해도 환자의 증상에 차도가 없다며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많아 안타깝다"며 "치매 예방과 조기 발견만큼 치료를 꾸준히 유지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