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막연한 IoT는 버리고, 글로벌 기업 무조건 인수하라” 왜?

제4차 산업혁명을 맞아 IT서비스 산업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가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마련됐다.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



[메트로신문 나원재 기자] 인공지능과 로봇기술, 생명과학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정부와 국내 IT서비스기업의 역할을 곱씹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는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제4차 산업혁명 세미나를 열고 ICT(정보통신기술) 산업이 가야할 길과 풀어야 할 숙제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협회에 따르면 이날 세미나는 송희경 의원실 후원으로 진행됐으며 ▲4차 산업혁명과 IT서비스산업 ▲민간 공공 클라우드확산을 위한 제언 ▲ICT시장 패러다임에 따른 규제 이슈 ▲공공 소프트웨어(SW, 이제는 서비스 패러다임 ▲IOT를 활용한 미래 비즈니스 등 총 5개의 세션이 이어졌다.

각 주제별 강연자들은 글로벌 기업에 대한 공격적인 인수·합병(M&A)을 주문하는가 하면, 클라우드에 대한 인식 전환과 뒤처진 규제 개혁의 필요성, 공공 SW 혁신 선결과제, 사물인터넷(IoT)의 비즈니스화에 대해 제언을 했다.

[b]◆제4차 산업혁명 세미나, 5개 세션 전문가 릴레이 제언[/b]

첫 세션을 맡은 박서기IT혁신연구소의 박서기 소장은 "앞으로 소맥(SoMAC, 소셜·모바일·애널리틱스·클라우드)은 10년 이상 유지될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는 지금부터가 시작이다"며 "이들 분야는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이다"고 말했다.

박 소장은 "한국 기업의 수준은 글로벌 기업에 비해 완벽히 늦었고, 지금 출발해도 늦었다"며 "4차 산업혁명을 맞아 국내 IT 기업들이 산업혁명의 수혜를 누리기 위해선 소맥의 적극적인 도입과 함께 글로벌 기업을 무조건 인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글로벌 트랜드를 가장 늦게 좇아 성공한 사례는 카카오톡이다"며 "전 세계에서 가장 늦게 나온 메신저의 마지막 성공 이후는 글로벌 기업의 인수"라고 재차 강조했다.

두 번째 주자로 나선 조문증 숙명여대 교수는 클라우드가 장점은 많지만 활성화가 안 되는 이유를 언급했다.

조 교수는 클라우드에 대한 정보부족과 클라우드 보안에 대한 지나친 우려, 기존시스템의 문제점, 클라우드 전환 이후 비용 비효율화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SW산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클라우드 도입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다"며 "다만, CEO부터 IT 담당 부서, 시스템통합(SI) 기업까지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일갈했다.

조 교수는 클라우드 구축을 재건축과 항공 산업에 비유했다. 아파트를 재건축해도 세입자와 주인, 경비실, 상가 등의 입장은 모두 다르듯이 기업 내 직급별 생각 또한 다르다고 표현했다.

CEO는 클라우드를 활용해 사업 환경에 대한 대응 속도를 높이고 싶지만 정보 부족과 보안에 대한 걱정이 앞선다는 게 조 교수의 설명이다.

또 조 교수는 이하 CFO(최고재무책임자)는 클라우드 환경 조성에 투입되는 비용에만 집착하고 CIO(최고정보관리책임자)와 CTO(최고기술경영자)는 단순 운영 중심의 업무에 변화를 줘야 하지만 모든 것을 직접 관리해야만 한다는 생각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조사를 해보니 국내 200대 기업 중 IT 회사를 가지고 있지 않은 곳은 두 곳 뿐이었다"며 "IT 자회사와 SI 회사는 인건비나 제품 마진 중심의 사업에서 기술 중심으로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조 교수는 클라우드 보안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정립해야 한다고 첨언했다. 보안을 강조하는 게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b]◆인식, 규제개선, 패러다임 대응 중요성 제시[/b]

세 번째 세션에 나온 김경환 법무법인 민후 변호사는 규제로 인해 신기술 도입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강연을 펼쳤다. 김 변호사는 ICT 시장 패러다임에 따라 상업간 경계가 와해되는 시점에서 과거의 낡은 규제들이 산업성장에 저해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진입규제를 최소화하고 사전규제에서 사후책임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가능하면 시장에 맡길 수 있는 자율규제가 필요하다"며 "규제 철폐보다 입법이 쉽기 때문인지, 개인정보보호법 같은 경우 개정 법률안 40건 중 26건이 입법안이다"고 꼬집었다.

이에 더해 그는 "규제는 하면서 추적은 하지 않고 있다"며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등 현재 관련 규제 현황을 좇아야 한다"고 첨언했다.

이 밖에 유재흥 한국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연구원은 "한국의 공공 IT산업은 성숙기를 넘어 수익성도 떨어지고 신규투자도 줄고 유지보수만 증가하는 등 쇠퇴기에 진입했다"며 "노동집약적 구축중심의 SI에서 창의적 지식기반의 서비스중심 전환이 필요하고 민간참여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지난 20여년간 IT 강국의 배경엔 공공SW 투자와 성과가 뒷받침 됐지만, 이후 대기업 참여제한과 SW 제값 주기, 과업 변경 등의 문제가 끊임없이 돌며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유 연구원은 "혁신적 SW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규모에 상관없이 합리적 대가를 받을 수 있는 공공 SW 시장이 조성돼야 한다"며 "클라우드 기반의 공공 SW 조달 체계로 혁신 중인 미국과 영국을 참고하자"고 당부했다.

조인행 LG CNS 상무는 마지막 주자로 나서 IoT의 미래 사업화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조 상무는 "화두로 떠오른 IoT는 드론과 로봇이 아닌 데이터다"며 "광의의 IoT는 결국 IT와 같듯이 협의의 IoT도 결국엔 데이터다"고 강조했다.

조 상무에 따르면 서버는 결국 클라우드고 여기에 네트워크가 형성돼 데이터를 넣고 빼는 일이 IT 서비스다. 이는 모바일과 IoT도 마찬가지다. 각각 스마트폰과 자동차, 냉장고, 로봇 등과 데이터를 주고받는다는 관점에선 IT 서비스와 같은 개념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IoT 사례를 들라면 결국 데이터를 모아서 유의미한 정보를 뽑는 날씨와 교통을 꼽을 수 있다"며 "다만 있으면 좋은 게 아닌 돈이 되는 걸 만드는 게 IoT를 이용한 미래 서비스"라고 밝혔다.

의료 서비스처럼 생명연장을 해주는 등 비즈니스가 돼야지 막연한 근거를 가지고 사업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게 조 상무의 생각이다.

조 상무는 "유비쿼터스와 IoT는 100% 같은 말이지만 다른 점을 기술이 좋아진 것이다"며 "스마트폰을 통한 강력한 송수신과 LTE 환경, 근거리 통신기술, 와이파이 등이 데이터를 주고받는 비용을 낮췄기 때문에 과거 비용부담을 이유로 사업화를 하지 못한 아이템들이 지금 적기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