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의 해양플랜트 설치선인 '피터 쉘터(Pieter Schelte)' 호가 시운전 되고 있다.
[메트로신문 양성운 기자] 해외 해양플랜트 발주사가 국내 대형 조선업체들에게 해양플랜트 인도 연기를 통보하고 있지만 되레 국내 조선업계는 안도하는 분위기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이 아프리카 지역 선주와 맺은 1조3297억원 규모의 드릴십 2척에 대한 계약이 무기한 연기됐다. 대우조선과 선주 측은 올해 안에 드릴십을 인도하는 쪽으로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우조선은 지난달 말 이같은 상황을 공시하며 "현재 선주 측과 인도연장 계약에 대해 협의 중에 있으며 확정되는 시점에 재공시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유가 하락 등으로 선주들의 자금 사정이 좋지 않거나 드릴십을 수주해도 당장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업체들은 올해 발주 물량이 몰려있는 상황에서 인도 연기는 숨통이 트일 수 있게 됐다.
실제 대우조선이 올해 인도를 앞두고 있는 드릴십 등 해양플랜트만 10척 이내다. 만약 해양플랜트 인도 일정이 차질없이 진행됐다면 빠듯한 조업일정으로 자칫 생산 지연에 따른 추가 손실 가능성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숨통이 트인 셈이다.
여기에 수주 가뭄으로 2018년 이후 일감 부족이 우려됐지만 이번 인도 연기로 조업량이 고르게 분포되는 모양새를 갖추게 됐다.
반면 일각에서는 해양플랜트 발주사의 인도 연기로 계약 파기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인도 연기를 했다는 것은 계약 해지는 없을 것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라며 "2010년부터 국내 조선업체들이 해양플랜트를 집중적으로 수주하면서 납기일을 맞추기 위해 일정을 빠듯하게 잡아야 했는데 인도 연기로 조업 일정에 여유가 생겼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정을 맞추기 위해 단기 인력을 대거 투입하는 과정에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원가도 상승하지만 이번 인도 연기로 적정인력 유지와 효율성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