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금융권, 조선사 여신회수 속타네…"리스크 관리vs기업살리기"



최근 시중은행들이 조선업체 등 자금 사정이 어려운 기업들의 여신을 회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금융당국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특히 업황부진과 대귶모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조선업에 대한 여신회수 여부를 둘러싸고 은행과 금융당국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금융사의 무분별한 여신 회수에 쓴소리를 했다.

진 원장은 "최근 일부 금융사가 일시적으로 유동성 애로를 겪는 정상기업에서 경쟁적으로 여신을 회수하려는 '비올 때 우산뺏기 식' 영업을 한다는 얘기가 있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기업 구조조정을 위한 옥석 가리기는 합리적인 근거를 갖고 해야지 막연한 불안감으로 무분별하게 여신을 회수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는 대우조선발 악재에 데인 금융사들이 한진중공업 등 여타 조선업체의 기존 여신을 회수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보도에 따른 것이다.

앞서 한 매체는 "KB국민은행이 한진중공업에 이달 말 만기가 도래하는 200억원 규모의 신용 대출 등에 대해 만기연장 불가를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에 국민은행 측은 "8월 말 만기라는 건 맞지만 아직 만기 연장 등과 관련한 협의가 진행 중"이라며 "만기연장 불가론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당장 여신을 회수하려했다기보다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살펴봤다는 얘기다.

금융계에서는 기업정상화를 위해 유동성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과 부실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특히 부진한 업황에 시달리는 조선업계에 대해 은행권이 자금줄 죄기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제기됨에 따라 은행권의 행보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올해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업체 빅3가 연간 6조원에 육박하는 영업손실을 예고하는 등 업황이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 3사는 올 상반기에만 약 4조7000억원의 손실을 입었다. 더구나 중국 인민은행의 위안화 평가절하 조치로 중국 조선업체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경우 국내 조선업계도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구조조정 추진에 따라 충당금 부담 확대으로 인한 수익악화 가능성이 은행의 발목을 잡고 있다.

실제 대우조선이 자율협약을 하게 되면 은행의 대손충당금이 급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은행들의 속만 타들어가고 있는 셈이다.

지난 6월말 현재 대우조선에 대한 은행과 증권사 등 67개 금융사의 신용공여액은 23조2245억원이다. 이 가운데 대출은 5조1525억원, RG는 18조721억원에 달한다.

은행별로는 수출입은행의 신용공여액이 12조2119억원으로 가장 많으며, 산업은행(4조1066억원), 농협(1조6407억원), 서울보증보험(1조1148억원), KB국민은행(8438억원)순이다.

반면 정부는 일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숨통을 터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금감원은 대우조선 채권단에 여신 회수 자제령을 내린 바 있다.

대우조선 정상화를 위해 기존 대출과 RG(선주가 선박을 주문할 때 미리 주는 돈에 대해 금융기관이 보증해 주는 선수금환급보증) 회수를 자제해 달라는 의미다.

이에 대해 채권은행 한 관계자는 "한없이 퍼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당연히 관리하는 게 맞는데 이걸 하지 말라는 상황"이라며 "여신심사는 당연히 거쳐야할 절차지만 정부가 이렇게 나온 마당에 누가 총대를 매겠냐"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정상화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이니 지켜보고 있는 상태"라고 덧붙였다.

시중은행 다른 관계자 또한 "경영실사과정이나 자구계획을 보고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입장"이라면서도 "국내외 변동성이 커지고 있어 대응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