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금융인사이드] 임종룡, '중금리대출' 압박…시중은행 "울며겨자먹기"

저축銀, 고객이탈 심화…부실문제 등 부작용도 지적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23일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은행연합회가 주관한 은행장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금융위 제공



[메트로신문 백아란기자] "서민과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금융지원을 확대해 달라."

지난 22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신한, KB국민, 우리은행 등 16개 시중은행장과 만나 "현재 서민금융기관이 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은행이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주문했다.

은행권의 문턱을 낮춰 저신용등급의 대출 수요자와 고금리에 허덕이는 서민층의 금융애로를 해소하는데 일조해달라는 의미다.

◆ 시중은행, 10%대 중금리대출 확대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임 위원장은 지난 2일 금융지주회사 현장 간담회와 은행장 간담회(22일), 서민금융지원 강화방안 발표(23일) 등을 통해 시중은행에 10%대 중금리 대출 상품을 출시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10%대 중금리 상품을 활성화해 대출시장 양극화를 없애고 금리부담을 경감한다는 취지다.

그는 "손실을 보면서까지 정책금융을 하자는 것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지만 금융당국의 행보에 압박을 느낀다는 것이 은행권의 속내다. 결국 은행권에서는 울며겨자먹기 식으로 상품을 내놔야하는 셈이다.

실제 시중은행들은 금융당국 정책에 발맞춰 잇달아 5~10%이내 중금리 대출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26일 모바일 전문은행 '위비뱅크(WiBee Bank)'를 통해 최저 5.94%의 '위비 모바일 대출'을 선보였다.

신용등급에 따라 연 5.9~9.7% 금리를 적용하는 '위비 모바일 대출'은 출범 한달이 안된 24일 현재 누적 대출액 100억원을 넘어섰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평균 대출액은 약 400만원정도 되는데 하루에도 200~300건씩 대출 신청을 받고 있다"며 "금리도 15%~27%에 달하는 카드론 대출에 비해 훨씬 낮은데다 모바일로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인기가 많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스피드업(Speedup) 새내기 대출'과 '직장인 대출'을 출시했다.

'스피드업 새내기 직장인 대출'은 재직 6개월 미만의 중간 신용등급 직장인도 신청 가능한 상품으로 금리는 6.89%~7.69%(6월 11일 기준)다.

재직 6개월 이상인 직장인은 '스피드업 직장인 대출'을 통해 5.39%~6.69% 수준의 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다.

특히 모바일 전용 상품으로 기존 13단계에 이르던 신청절차는 5단계로 줄었고 무방문·무서류로 신청 당일 대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도 핀테크의 편리성을 기반으로 금융 사각지대에 있는 고객을 위한 신규 대출 상품과 다양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라며 "신한은행을 거래하지 않는 고객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IBK기업은행은 내달 모바일 통합플랫폼 'i-ONE뱅크'에 중금리 대출상품을 도입할 예정이며, 하나은행은 내달 중으로 중금리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외환은행과 농협은행 역시 전산시스템과 업무 프로세스를 구축해 상품을 내놓을 방침이다.

/각 사 제공



◆ 연체율 상승·수익성 악화 등 부작용 우려 지적

일각에서는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중금리 대출의 경우 저신용 고객을 은행으로 유입하는 동시에 연체율과 수익성 악화 등의 문제점도 안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저신용자 유입이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로 가뜩이나 예대마진이 감소하고 있는데 중금리 대출을 확대하면 연체율이 높아지는 등 부실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대출 구조를 바꾸는 등 취지는 좋지만 금융산업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경제와 복지는 같은 선상에 놓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또 "단순히 금리를 내리는 상품만으로 가계부채를 해결한다거나 서민금융을 지원하는덴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새희망홀씨 대출과 같은 상품과 겹치는 부분도 있고 저축은행과의 중복성도 문제"라고 꼽았다.

실제 저축은행권에서는 정부의 중금리 대출 확대 정책에 앓는 소리가 나온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이미 은행권에서 중금리대출을 실시하고 있어 고객 이탈 우려가 심하다"며 "은행권과의 제휴등을 모색하고 있지만 수익성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고민되는 부분이 많다"고 털어놨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시중은행의 가계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3~6%대 수준이다. 반면 저축은행의 경우 평균 신용대출 금리는 20%대 후반에서 30%에 달한다.

그간 시중은행에서는 1~4등급의 대출자가 주를 이뤘으며 저축은행은 6~10등급 고객을 중심으로 영업을 해왔다.

이 때문에 중금리대출이 확대되면 저신용 등급의 고객이 일반 시중은행권으로 몰려갈 가능성이 크다.

금융지주 내 은행과 저축은행이 함께 있을 경우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예컨대 KB금융그룹의 경우 계열 저축은행과 은행을 모두 가지고 있어 어떤 방식으로 운영할지 고민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임 위원장은 "저축은행이 있는 금융지주회사의 경우 은행과 저축은행간 연계 상품을 확대하는 방법도 있다"며 "이를 위해 서민금융지원을 은행의 내부성과체계(KPI)에 반영하는 등 적극적인 유인체계를 갖춰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또 "장기간 성실상환자를 대상으로 연 9% 금리에 3000만원까지 지원가능한 '징검다리론'을 도입할 예정"이라며 "주거와 교육, 노후 대비 등 서민층의 다양한 자금수요를 촘촘히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