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김민지기자] 국내 주식시장이 활황세를 보이자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올해 들어 5개월여 만에 국내 투자자들의 '빚 투자'가 50% 이상 증가한 것이다. 지난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직전에 나타난 이른바 '묻지마 투자'가 재연되는 상황이다.
25일 금융투자협회 등에 따르면 국내 증시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지난 21일 기준 7조6182억원으로 약 5조원대에 불과했던 연초에 비해 50% 이상 늘어났다. 잔액이 요즘처럼 많은 적은 없었다.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직전 부동산과 주식시장이 활황인 시점인 2006년부터 2007년 중순까지 신용거래융자는 1조원 미만에서 7조원까지 수직 상승한 바 있다. 하지만 금융위기 발생 이후 1조원 대로 떨어졌던 신용거래융자는 2011년 6조9000억원대로 꾸준히 증가하더니 이후 2014년까지 3조~5조원 사이를 오가는 흐름을 나타냈다.
'신용거래융자'란 자본시장법 제72조에 의해 허용된 증권회사 신용공여의 일종으로, 증권회사와 고객 사이의 사전 약정에 의해 증권회사가 고객에게 주식매수 자금을 대여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고객이 증권사로부터 빚을 내 주식을 거래하는 것을 일컫는다.
문제는 증시 내외의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이다. 일각에서는 외국인 자금의 일시적 유입이 장세를 이끄는 거품 상황일 수 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더욱이 미국의 금리 인상 등 대외 악재를 감안하면 시장 급랭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개인 투자자들은 주의와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시장 상황만 보고 무리하게 빚을 내 투자하다 '빚 폭탄'을 맞게 된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특히 다음달 15일부터 증시 가격제한폭이 상하 30%로 확대되는 시점에선 특정 종목의 주가 변동성이 하루 60%에 이를 정도로 확대된다. 개인들은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한 신중한 투자가 필요하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빚 투자의 위험성을 미리 경고하고 건전한 투자 분위기가 확산되도록 힘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