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서태지가 악성루머에 대한 법정 대응을 고려한다는 기사가 떴다. 자신과 아내에 대한 악플러의 활동이 선을 넘었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제 악플러에 대한 연예인·정치인의 강경 대응은 일반화됐다. 이에 대한 법적 수행 주체인 사법기관 역시 엄중한 입장을 고수하는 분위기다. 타인에 대한 비방이나 유언비어는 인류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 오죽하면 '안 보이면 나라님도 욕한다'는 말이 있을까. 이 말의 함정은 '안 보이면'에 있다. 비방을 안 보이게 하거나 안 들리게 해야 한다는 의미다. 너무 잘 보이고, 잘 들리는 인터넷이라는 플랫폼 위에 비방을 늘어놓는 건 타인의 인격을 살해하는 셈이다.
2010년도에 스마트폰을 썼던 지구인은 5억 명이었다. 2014년 현재는 26억 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무선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기기의 성능은 무한 확장으로 치달았다. 보다 다루기 쉽고 편리하고 높은 수준이 요구됐고,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대를 가져왔다. 운동·레저·보안 등의 특화된 산업 분야를 벗어나 의료·패션·유통 등으로 일상화됐다. 개인을 위한 맞춤형을 넘어 가족이나 지인, 심지어 사물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개인정보보호란 이슈는 어느 새 편리함에 묻혔다. 주민번호만 사용하지 않을 뿐 개인의 고유한 정보가 사람과 사회 사이를 흘러 다닌다.
내달 부산에서 열릴 ITU(국제전기통신연합) 전권회의에 세간의 이목이 꽂혔다. 이번 회의의 쟁점이 인터넷 통제 문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정부가 독립적인 통제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러시아·중국·사우디아라비아 등과 인터넷에 대한 규제가 없길 바라는 미국 주도 국가간의 디지털 전쟁 서막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핵심은 인터넷의 통제가 국민이 가진 자유를 침해하느냐와 정치, 경제 이데올로기 등 국가가 가진 존재 정체성의 위험요소를 제거하느냐다. 인터넷이 국내에서든 국외에서든 모두의 것이라는 주장이 아직은 우월하다. 정보의 개방, 확장으로 이득을 취할 수 있는 구조와 기능을 가진 국가가 더 많다는 얘기다.
데이터는 특정 기기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뿌려지고, 어떤 시스템을 통해 흐르거나 보관된다. 양이 늘어나면 더 큰 서비스 주체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다. 디지털 권력 구조를 걱정한다.
인터패션플래닝(www.ifp.co.kr)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