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영화

'끝까지 간다' '하이힐' '우는 남자' '황제를 위하여'…한국 영화 포스터가 다 비슷한 이유?

최근 개봉한 한국 영화 포스터들 (왼쪽부터) 끝까지 간다, 하이힐, 우는 남자, 황제를 위하여



지난달 29일 개봉한 '끝까지 간다'부터 지난 3일 개봉한 '하이힐', '우는남자', 오는 12일 개봉을 앞둔 '황제를 위하여'까지 최근 극장에 걸린 한국 영화 포스터가 모두 비슷한 디자인으로 제작돼 관객들의 의문을 자아내고 있다.

이 포스터들의 공통점은 하나같이 주인공의 얼굴 아래로 영화 내용을 함축한 문구가 한 줄 내지는 두 줄 정도 삽입돼 있으며 제목은 큼지막한 캘리그라피로 적혀있다는 것이다. 아름다운 서체를 뜻하는 그리스어 'Kalligraphia'에서 유래한 캘리그라피는 전문적인 손 글씨 기술을 가리키는 말로 최근 영화·드라마 포스터를 비롯해 각종 디자인 상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캘리그라피가 대세라고 해도 같은 시기에 개봉한 영화들이 모두 비슷한 느낌의 포스터로 등장한 것은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 한 영화 관계자는 "관객들이 의아해 하는 사실을 알고 있다"며 "'하이힐' '우는남자' '황제를 위하여'는 모두 한 사람이 쓴 글씨다. 원래 이 영화들은 개봉 날짜가 겹치지 않았는데 각자 사정이 생겨 우연찮게 비슷한 시기에 극장에 걸리게 됐다"고 말했다.

관계자의 설명에 따르면 디자인 업체 B모사의 실장이 영화 포스터 손 글씨를 잘 쓰기로 소문나 일감이 몰린 것이다. 하지만 '명필' 실장의 솜씨가 아니더라고 최근 한국 영화 포스터들이 마치 유행처럼 모두 캘리그라피로 포스터를 만든다는 점은 설명되지 않는다.



사실 한국 영화 포스터가 모두 비슷한 디자인으로 제작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0년대 초반 제작된 한국영화들의 포스터들은 하나같이 정직한 고딕체를 사용했었다. 2000년대 중반에 들어선 고딕체부터 날려 쓴 손 글씨까지 다양한 폰트를 이용한 포스터들이 하나 둘 씩 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지난해 들어선 캘리그라피가 독점한 모양새다. 고딕체든 캘리그라피든 내용과 관계없이 비슷한 디자인의 포스터들이 쏟아지자 관객들 사이에선 '식상하다', '무슨 영화인지 구분이 잘 안 간다' 등의 지적이 나오기 시작했다.

영화 '끝까지 간다' 해외판 포스터



현재 입소문을 타고 흥행몰이 중인 '끝까지 간다'는 짜임새 있는 연출과 탄탄한 대본을 바탕으로 쉴 틈 없는 긴장감을 선사한다. 특히 중간 중간 등장하는 미묘한 상황은 관객들의 웃음을 자아내며 한국형 블랙코미디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포스터만 봤을 땐 '끝까지 간다'가 어떤 장르의 영화인지 알아채기 쉽지 않다. 오히려 해외판 포스터가 영화의 느낌을 더 잘 담아냈다는 의견도 많다. 최근 한국 영화 포스터들은 하나같이 세련됐고 잘 빠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영화의 장르와 내용을 고려한 개성 넘치는 다양한 포스터가 부족한 현실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