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방/외교

남북 무인기 비교…'글로벌호크' vs '방현' 수준차 커

파주에 추락한 무인항공기



우리 군이 2018년까지 도입할 글로벌 호크



서해 백령도와 경기도 파주에서 추락한 무인항공기가 북한 제품이 유력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우리 측 무인기 성능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군 관계자는 2일 "이번에 발견된 2대의 무인항공기에는 소형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고 청와대 전경이나 백령도 해병부대 등의 모습이 찍혀 '공중 촬영용 소형 비행체'로 보인다"며 "우리 군보다 항공 정찰 능력이 크게 뒤져 있다"고 전했다.

북한은 세 종류의 무인기를 보유한 것으로 군 당국은 추정하고 있다.

중국의 무인비행기(D-4)를 도입해 자체 개조해 만든 '방현-Ⅰ·Ⅱ'가 대표적이다. 이 무인기는 최전방 부대에 실전 배치된 것으로, 길이 3.23m에 고도 3㎞, 최대 시속 162㎞로 비행하며 작전반경이 4㎞에 달한다. 유사시 20~25㎏의 폭약도 장착할 수 있다.

길이가 8m인'VR-3레이'는 1990년대 말 중동에서 수입한 것으로, 15분 동안 비행하며 작전반경이 90㎞에 달한다.

러시아에서 도입한 길이 2.78m의 '프라체-1T'는 작전반경이 60㎞로, 2500m까지 상승할 수 있고 낙하산을 이용해 착륙한다.

무인 항공기 외에 북한은 지난해 저공으로 비행하는 항공기와 순항미사일을 공격하는 '무인타격기'를 개발해 실전 배치한 사실을 공개했다. 당시 공개된 무인타격기는 한국과 미국의 군 당국이 운용 중인 고속표적기 '스트리커'와 외형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2010년~2011년 사이 시리아로 추정되는 중동 국가에서 미국산 고속표적기인 '스트리커'(MQM-107D) 여러 대를 도입, 무인타격기로 개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은 "북한은 고속표적기에 고폭탄을 장착해 수차례 시험을 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관측됐다"며 "하지만 최근 실패를 극복하고 일정한 고도와 거리를 비행하는 무인타격기로 개조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반면 우리 군은 '송골매' '서처' '스카이락-II' 등의 무인정찰기를 운용하고 있다.

1991년 걸프전 이후 무인정찰기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1993년 연구에 들어가 1999년부터 송골매를 제작했다. 2002년부터 군단급 부대에 배치된 이 무인기는 북한군 병력과 장비, 이동표적 등에 대한 실시간 영상정보를 제공해 준다.

통신이 두절되면 자동귀환이 가능하도록 고안됐고, 실시간 원격조정과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항법 비행도 할 수 있다. 길이 4.8m, 체공시간 5시간, 작전반경 110㎞ 등이다.

서처는 이스라엘에서 도입했다. 2005년 5군단에 처음으로 실전배치됐지만, 차기 군단급 무인정찰기가 개발되면 도태될 예정이다. 길이 5.15m, 작전반경 100㎞, 체공시간 14시간 등이다.

스카이락-II는 전방 감시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2009년 이스라엘에서 도입했다. 차량 발사대를 이용해 이륙하며 1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작전반경은 100㎞에 달한다.

우리 군은 또 2018년까지 고고도 무인정찰기인 글로벌호크 4대를 도입해 대북 감시망을 확대할 계획이다. 글로벌호크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우리 군이 구축 중인 '킬 체인'(Kill Chain)의 핵심 감시·정찰 자산 역할을 할 전망이다. 지상 20㎞ 상공에서 레이더와 적외선 탐지 장비 등을 통해 지상 0.3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첩보위성 수준급의 무인정찰기이다. 작전 비행시간은 38~42시간이며 작전 반경은 3000㎞에 이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