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2025년 04월 05일 (토)
부동산>부동산일반

정비사업 수주 1분기에만 11조…'대어' 압·성 수주전 본격화

[메트로신문] 건설사들이 연초부터 재건축, 재개발 등 도시정비사업 수주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간 부동산 경기 침체와 수익성 악화로 몸을 사렸던 것과 달리 급등한 공사비가 시장에서 어느 정도 받아들여지고 있는데다 입지가 좋거나 상징성이 있는 사업지가 대거 시공사 선정에 나선 것도 영향을 미쳤다.

 

서울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4차 아파트 전경. 최근 재건축 시공사로 선정된 삼성물산의 현수막이 걸려있다. /안상미 기자

2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10대 건설사들의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은 11조원 안팎으로 집계됐다. 1분기만 놓고 보면 2023년 4조5000억원, 2024년 4조원으로 수주실적이 저조했던 데서 2배가 넘게 급증했다.

 

1분기 정비사업 수주에서 선두주자는 삼성물산이다. 모두 5건, 총 3조5560억원 규모다. 그간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반도체 공장 건설이 주춤하면서 도시정비사업에서 일감 확보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물산은 올해 1월 한남4구역 재개발(수주액 1조 5695억원)을 시작으로 송파 대림가락 재건축(4544억원)과 방화6구역 재건축(2416억원), 송파 한양3차 재건축(2595억원), 신반포4차 재건축(1조 310억원)을 수주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한양3차의 경우 먼저 시공권을 가져간 대림가락 재건축 사업과 연계한 새로운 통합 재건축 모델을 조합에 제시해 좋은 결과를 냈다. 두 단지의 재건축 사업을 각각 진행하면서도 한 단지처럼 운영하는 계획을 적용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장위8구역에서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점을 감안하면 상반기에만 4조원이 넘는 수주실적을 올릴 전망이다.

 

GS건설도 삼성물산의 뒤를 바짝 쫓고 있다. 부산 수영1구역(6374억원)을 시작으로 중화5구역(6498억원)과 봉천14구역(6275억원), 상계5구역(2802억원) 등 모두 재개발 사업에서 성과를 냈다. 총 2조1949억원 규모다.

 

롯데건설은 신용산역북측1구역 재개발(3522억원)과 상계5구역 재개발(4527억원), 부산 연산5구역 재건축(7017억원), 수원 구운1구역 재건축(3483억원) 등을 가져갔다. 상계5구역은 GS건설과, 연산5구역과 구운1구역은 현대건설과 함께 수주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서울 광장동 상록타워아파트 리모델링과 함께 성남 은행주공 재건축(1조 2972억원)으로 성과를 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강원 원주 단계주공 재건축과 부산 광안4구역 재개발을, DL이앤씨는 연희2구역 재개발 사업을 수주했다. 대우건설과 SK에코플랜트, 현대엔지니어링 등은 1분기에는 수주 실적이 없다.

 

건설사들의 수주전은 앞으로 더 본격화될 전망이다. 정비사업 최대어로 꼽히는 압구정을 비롯해 성수전략정비구역이 시공사 선정을 앞두고 있어서다.

 

압구정 2구역이 오는 6월 시공사 선정 공고를 낼 예정이다. 공사비만 2조4000억원 안팎에 달한다. 3구역은 연내 시공사 선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성수전략정비구역은 지난달 말 지구단위계획(정비계획) 결정이 고시됐다. 총 4개 지구로 9428세대의 대규모 사업이다. 성수1지구의 시공사 선정이 연말로 예정됐지만 건설사들은 조합원을 상대로 설명회를 여는 등 분위기는 이미 가열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
HOT NEWS
"공제 해지해야 하나요?"…MG손보 청산 우려에 소비자 혼란
"공제 해지해야 하나요?"…MG손보 청산 우려에 소비자 혼란
'노는 법'부터 다르다…식품업계, 라이프스타일에 스며들어 브랜드 경험 확대
'노는 법'부터 다르다…식품업계, 라이프스타일에 스며들어 브랜드 경험 확대
"운명의 한 달"…위니아, 회생 절차 난항 속 생존 기로
"운명의 한 달"…위니아, 회생 절차 난항 속 생존 기로
[트럼프 '관세폭탄'] 가상자산 잇따라 '급락'…금값은 강세
[트럼프 '관세폭탄'] 가상자산 잇따라 '급락'…금값은 강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