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2025년 04월 16일 (수)
산업>석유화학/에너지

석유화학업계 '전력 리스크'부각…"자가 발전·스마트 관리 도입 시급"

LG화학 충남 대산공장 전경./LG화학

[메트로신문] LG화학과 롯데케미칼의 대산공장이 정전 사태 이후 2주 만에 정상화됐지만, 전력 리스크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연속 공정이 필수적인 석유화학 공장은 정전 발생 시 막대한 손실이 불가피한 만큼, 업계에서는 자가 발전과 스마트 전력 관리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은 일부 무정전 전원장치(UPS)와 비상 발전기를 도입해 정전에 대비하고 있으나, 대형 공장의 막대한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석유화학 공장은 전력 소비량이 워낙 많기 때문에 비상 발전기만으로 전체 공장을 가동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특히 갑작스러운 정전이 발생하면 주요 생산 라인의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롯데케미칼은 사고 발생 다음 날인 지난달 26일 공시를 통해 "이번 정전으로 NC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공장 가동이 중단됐다"며 "이는 전체 매출의 17.83%에 해당하는 생산라인"이라고 밝혔다. LG화학도 공시를 통해 "정전으로 인해 매출의 9.38%를 차지하는 생산라인이 영향을 받았다"고 전했다. 다만, 롯데케미칼 측은 "외부에서 우려했던 것보다 피해 규모는 크지 않을 것"이라며 "비축된 재고를 활용해 피해를 최소화했고, 일부 보수 비용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LG화학과 롯데케미칼의 대산공장 나프타분해시설(NCC)은 각각 연산 130만 톤, 110만 톤의 에틸렌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석유화학 공장의 정전 사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8년 LG화학 여수공장에서 변압기 문제로 인해 벤젠, 톨루엔 등의 주요 제품 생산 라인이 중단된 바 있다. 2011년에는 울산 석유화학단지에서는 16분간 정전이 발생해 SK에너지, SK케미칼 등 120여개 업체가 공장 가동을 멈추는 사태가 발생했다. 또 LG화학과 롯데케미칼(당시 롯데대산유화)은 2006년 변전소 변압기 고장으로 정전을 겪은 뒤 한국전력을 상대로 104억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한 전례도 있다.

 

이후 기업들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력 공급 시스템 개선 ▲비상 전력 공급 체계 구축 ▲안전 교육 강화를 통해 대응책을 마련했으나, 이번 정전 사태를 계기로 국내 석유화학 업계의 전력 리스크 관리 시스템이 여전히 취약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 업계 전문가는 "단기적으로는 비상 발전 설비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자가 발전 인프라를 구축해 전력 공급 안정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글로벌 석유화학 기업들은 전력 공급 불안정에 대비한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왔다. 독일 바스프(BASF)는 루트비히스하펜 공장에 실시간 공정 모니터링 및 예지 보전 시스템을 구축해 전력 관련 문제를 사전에 감지하고 신속히 대응하고 있다. 엑손모빌은 고성능 컴퓨팅(HPC)과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정을 최적화하고 전력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외에도 해외 주요 석유화학 기업들은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도입 ▲AI 기반 전력 수요 예측 및 분배 시스템 구축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자가 발전소 운영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을 통한 독립적 전력망 확보 등 정전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