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여기저기서 외치는 'AI Everywhere' … 일자리 어떡하나

연구원이 MEC플랫폼이 설치된 서버실에서 AR글래스를쓰고, 산업용 AR서비스를 시험해보는 모습. 인공지능(AI)이 빠르게 산업현장에 도입되면서 일자리 감축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SKT

글로벌 기술 기업과 석학들이 'AI Everywhere(인공지능의 일상화란 의미)'를 외치고 있다. 많은 이들이 2025년을 AI 소프트웨어가 일상 속 변화를 본격적으로 이끄는 원년으로 지목하는 한편, IT업계를 포함한 전 산업 분야에서는 인력 감축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의 상용화가 본격화되면서 AI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그러나 AI의 빠른 도입은 일자리를 잃는 사람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도 초래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기업들은 AI 솔루션에 3070억 달러를 지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비용은 2028년까지 연평균 29.0% 성장해 63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또한 AI는 2030년까지 전 세계 경제에 누적 19조9000억 달러의 영향을 미치며, 2030년 전 세계 GDP의 3.5%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전 세계 조직의 AI 도입률도 지난해 55%에서 올해 75%로 급격히 증가한 상황이다.

 

AI의 빠른 확산에 따라 주요 기업들은 AI 시대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특히 2025년을 AI 시대의 전환점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전략 담당인 크리스 영 부사장은 2025년 AI 트렌드에 대해 "2025년은 AI가 일상과 업무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는 전환의 해가 될 것"이라며 "AI는 불가능해 보였던 많은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지난 한 해 동안 많은 조직이 실험 단계를 넘어 실질적인 도입 단계로 진입했다"고 밝혔다.

 

SAS는 AI 보안 위협, 탄소 배출, 불량 데이터로 인한 AI 오염 등 부정적인 변수들을 언급하면서도 2025년을 AI 시대의 대전환기로 평가했다. SAS 측은 "생성형 AI가 주목받는 기술로 자리 잡았지만, 이제는 AI에 대한 과도한 기대감을 내려놓고 실질적인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데 집중해야 할 시점"이라며 "생성형 AI가 '화제의 신기술'에서 '일상적인 AI'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기술적인 트렌드의 변화도 예고된다. 엔비디아는 소형언어모델(Small Language Model, SLM)의 부상을 주목했다. 소형언어모델은 엣지 컴퓨팅에서 운영되는 로봇의 기능을 개선하며, 고효율 에너지와 가속화된 추론을 추구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AI 시대의 도래는 실업률 증가라는 심각한 과제를 동반하고 있다. 많은 기업이 AI 도입을 통해 업무 환경을 재구축하면서 노동 인력의 감축을 예상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응은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오픈AI의 샘 알트먼 CEO는 "생성형 AI의 한 분야인 'AI 에이전트'가 올해 기업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이라며 "AI 에이전트는 가상 직원(Virtual Employee)으로 노동 인력에 합류해 사람의 개입 없이도 추론과 전략 구상, 자율적 작업 수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술은 노동 인력 감축을 가장 직접적으로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경제포럼(WEF)은 미래 일자리 보고서를 통해 전 세계 대기업 41%가 특정 업무의 AI 자동화에 따라 인력을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WEF는 "AI와 재생에너지 발전이 노동 시장을 재편하며, 특정 기술과 전문직의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그래픽 디자이너와 같은 다른 역할은 감소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AI 발전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기업은 기존 직원에 대한 기술 재교육을 강화하고, 국가 차원에서 평생교육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단기적으로는 920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는 2030년까지 1억7000만 개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샘 알트먼은 "AI가 중간 수준의 인간 노동을 대체할 수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편적 기본소득(Universal Basic Income, UBI)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UBI는 국가나 지방자치체가 모든 구성원에게 최소생활비를 지급하는 제도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