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건설활동이 제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
침체국면에 빠진 우리 경제 회복을 위해 직간접 고용 창출과 연관산업 생산유발 효과가 큰 건설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산업연구원이 2일 발표한 '건설활동이 제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 활동은 생산액 10억원당 고용유발인원이 10.8명으로 제조업 평균인 6.5명보다 1.7배 많고, 생산유발효과도 2.017(2020년 기준)로 전산업 평균인 1.875보다 10.5% 높았다.
이는 건설산업의 최종수요 증가가 다른 산업의 최종수요 증가보다 전체 산업의 고용과 생산 증가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설산업은 특히 생산과정에서 투입되는 중간재 산업의 생산 증가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관산업 고용을 창출하게 된다. 2020년 산업연관표에 따르면, 건설산업의 총산출액 281조원에 의한 연관산업의 취업유발 인원은 126만3433명에 달한다. 특히, 제조업 취업유발 인원은 33만8600명으로 이는 제조업 전체 취업자의 10.4%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업종별로, 금속제품과 시멘트·콘크리트·점토제품 산업에 각각 8만1594명, 6만900명의 취업을 유발했고, 고무·플라스틱제품(3.5만명), 전기기계(3.4만명), 철강(2.4만명), 일반기계(2.3만명), 목재·목제품(1.5만명), 가구포함 기타제조업(1.4만명) 순이었다.
2020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해 건설투자의 고용유발효과를 구해보면, 건설투자를 5조원 확대할 경우, 3만1575명의 건설산업 고용이 창출되고, 연관산업 고용도 2만2441명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건설산업 총산출액 281조원에 의한 연관산업 생산유발액은 284조원 수준이다. 특히, 제조업 생산유발액은 157조원으로 제조업 전체 산출액의 8.9%에 달한다. 이는 2015년 8.0%에서 0.9% 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건설활동이 제조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음을 의미한다. 업종별로는 금속제품(25.9조원), 시멘트·콘크리트·점토제품(24.0조원), 철강(23.9조원), 전기기계(16.7조원), 고무·플라스틱제품(13.3조원) 순으로 파급효과가 컸다. 5조원 규모의 건설투자는 연관산업 전체에 5조580억원 규모 생산을 유발하고 특히 제조업 생산이 2조7970억원 유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종별로는 귀급속제품(4600억원), 시멘트·콘크리트·점토제품(4270억원), 철강(4270억원), 전기기계(2970억원), 일반기계(1630억원) 순이다.
산업연구원 박훈 연구위원은 "정부가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건설투자를 확대할 경우 건설 고용 확대는 물린이고 제조업 등 연관산업 경기 활성화와 고용 확대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우리 경제가 침체국면에서 하루빨리 벗어나기 위해서는 해당산업은 물론 연관산업 파급효과가 높은 건설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