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첫날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 등의 수입 제품에 고율 관세를 예고하면서 글로벌 무역전쟁의 전운이 감돌고 있다. 특히 한국 기업들은 미국과 중국의 갈등을 피해가며 협력을 유지해야하는 상황이라 긴장감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 첫날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하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물리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25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내년) 1월 20일 첫 행정명령 중 하나로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오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물리는 데 필요한 모든 서류에 서명할 것"이라고 적었다.
그는 두 나라가 마약, 특히 펜타닐 유입과 불법으로 국경을 넘는 이민자들을 제대로 단속할 때까지 이러한 관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에 대해서도 멕시코 등지를 통해 미국에 유입되는 펜타닐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해 (기존의) 추가 관세들에 더해 10%의 추가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당선인은 펜타닐 문제로 해당 국가에 관세를 예고했지만 향후 미중 무역갈등의 시작을 예고한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이에 국내 산업계는 드럼프 당선인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멕시코에 대규모 투자를 통해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자동차와 전자업계의 부담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LCD와 LED 등을, LG전자는 TV와 냉장고, 오븐 등을 멕시코 현지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고 기아와 포스코 등도 자동차와 철강재를 생산하는 현지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또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 등 자동차부품 업체들의 생산 공장도 멕시코에 위치해 있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기아 등 완성차 업체들이 멕시코서 생산한 차량을 미국으로 대규모 수출하는 만큼 관세 면제 혜택을 폐기할 경우 우리 자동차 산업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향후 관세 적용 규모 등을 보고 대응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메타플랜트 캐파 증설,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과 기아 조지아 공장 증산을 통해 방어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반도체 업계는 중국 내 IT 기업들이 관세폭탄으로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잃게 될 경우 시장 수요 부진을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A업체 관계자는 "메모리 반도체(D램/NAND플래시) 등의 수요 부진에 따른 시세 불안정으로 악성재고화 될 수 있다"며 "반도체 기업의 매출 하락은 물론 재고보관 비용 증가로 인한 경영 부담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철강과 석화업계의 경우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철강업계는 "중국에 대한 관세를 추가로 부과할 경우 미국 수출 물량에 정체가 발생하면서 아시아 철강시장에 풍선효과가 강화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중국 철강 물량이 다른 지역으로 선회하면서 그로 인해 영향도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석화업계는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국내 석화업계가 단기적으로 직접적인 이익을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된다"며 "다만 중국의 공급 과잉과 저가 공세로 인해 국내 업계가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중국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는 것은 장기적으로 국내 업계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국내 석화 제품이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여지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IT 스타트업과 벤처기업도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중심 공급망에 의존하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이와 연계된 국내 기업 모두에게 영향 미칠 것"이라며 "특히 애플은 미중 경쟁에 따른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 생산지 다변화해왔으나, 여전히 아이폰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중하는 만큼 제품 가격이 인상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국내 IT 서비스 기업들이 운영하는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물류, 클라우드 서비스 등의 실적도 하락할 전망이다"며 "중국산 부품과 소재 사용하는 대기업 및 스타트업, 생산 원가 상승 압박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