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는 21일 2025년도 본예산으로 총 3조 3,405억 원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 이번 예산은 첨단산업 육성, 시민 삶의 질 향상, 사회적 안전망 강화에 중점을 두고 마련됐다. 2025년 예산은 전년 대비 1,738억 원이 증가했으나, 재정자립도는 32.27%로 전년도 33.68% 대비 1.41% 하락했다. 이는 자체재원 증가 폭보다 국·도비 보조금 비중이 커졌기 때문으로, 시가 가용할 수 있는 자체재원이 제한적인 상황이다.
시는 이러한 여건 속에서도 모든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 낭비를 줄이고, 기금을 최대한 활용해 새로운 재원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첨단산업과 문화가 융합된 글로벌 명품도시로 도약하고, 시민 중심의 복지와 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한 예산을 편성했다.
2025년 예산안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첫째, 첨단산업과 문화가 융합된 글로벌 명품도시 투자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고양 경제자유구역 최종 지정을 앞두고 시의 핵심 전략산업 육성에 집중했다. 고양영상문화단지 조성에 20억 원, IP융복합 콘텐츠 클러스터 조성과 기업 유치에 162억 원,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비 430억 원,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에 112억 원, 드론 도심항공모빌리티 박람회에 7억 원을 투입한다. 또한 북한산성 세계유산 등재 추진 사업 3억 원, 공립박물관 건립 타당성 분석 용역 1억 원, 문화의 거리 기본계획 수립 5천만 원을 편성해 고양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고 시민들의 자긍심을 높일 계획이다.
둘째, 교육환경 개선과 지속가능한 도시 조성을 위한 예산도 마련했다. 4차산업 시대를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발전특구 사업에 32억 원, 고양형 교육지원사업인 고양미래교육협력지구 운영에 27억 원, 평생교육바우처 지원 사업에 7억 원을 투입한다. 또한 고양도시기본계획을 위한 용역에 5억 원, 경관계획 재정비 용역에 4억 원,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재정비 수립 용역에 3억 원을 편성했다. 중산2동·행신4동 행정복지센터 건립에 50억 원, 원흥·백석·탄현 체육센터 건립에 68억 원, 일산호수공원 북카페 조성사업에 18억 원, 행주나루 조성 기본 용역에 5억 원을 투입해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할 계획이다.
셋째, 청년의 꿈을 응원하고 활력 있는 도시에 투자한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경기신용보증재단에 출연하는 소상공인 특례보증 출연금으로 22억 원,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출연금으로 10억 원을 편성했다. 청년 지원을 위해 내일꿈제작소와 청년지원공간 운영에 7억 원, 고양 아이알데이(IR-DAY)에 5천만 원, 28청춘창업소 운영에 5억 원을 편성하고, 고양청년 미래지원사업을 위한 일자리기금으로 7억 원을 투입해 청년 일자리와 창업을 지원한다. 교통 분야에서는 대장~홍대선 광역철도사업 분담금 10억 원, 광역버스 준공영제 사업비 12억 원을 편성했다. 또한 버스 노선체계 개편 연구용역비로 4억 원, 도로건설관리계획 수립 용역으로 10억 원을 책정해 출퇴근 교통환경 개선에도 힘쓸 계획이다.
넷째, 시민이 믿을 수 있는 복지와 안전망을 갖춘 안심도시에 투자한다. 맞춤형 합리적 복지를 통해 사회적 약자와 동행하는 예산을 편성했다. 인구정책과 발맞춰 출산지원금 78억 원, 아이돌봄 사업 106억 원, 언제나 어린이집 운영비 1억 원을 편성해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392억 원,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에 64억 원, 노인종합복지관 기능보강에 2억 5천만 원을 투입해 초고령 시대에 맞는 복지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재난 재해에 대비한 안전 예산도 집중 편성했다. 지반침하 우려 지역 등에 대한 공동 조사를 위해 지표투과레이더 탐사 유지관리에 2억 원을 투입하며, 대화·강매·장월지역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에 57억 원을 편성해 극한 호우에 대비할 예정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첨단전략산업 육성과 인재양성,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시설 조성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저출생·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2025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고 밝히며 시민들의 관심과 시의회의 협조를 당부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