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덕여자대학교에서 촉발된 남녀공학 전환 반대 시위가 전국 여대로 번졌다. 현재까지 전국 4년제 7개 여대 중 이화여대를 제외한 여대 6곳이 남녀공학 반대 시위에 돌입하거나 연대 입장을 표명했다.
동덕여대를 비롯한 일부 여대는 그야말로 아수라장이다. 동덕여대에는 '공학 전환 반대' 등의 문구가 교내 안팎의 건물은 물론, 아스팔트와 보도블록까지 붉은 스프레이로 새겨졌다. 동덕여대 측이 추산한 피해액은 54억여원에 달한다. 성추행 의혹을 받는 교수에 대한 대학의 조처가 미흡하다며 학생들이 시위 중인 서울여대도 캠퍼스 곳곳에 붉은 래커가 칠해졌다.
여자대학교는 가부장제가 확고했던 시절, 사회적 약자인 여성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설립됐다. 대학마다 전신과 기원을 어디에 두냐에 따라 기준이 달라지지만, 이화여대(1886년), 숙명여대(1912년), 성신여대(1936년), 동덕여대(1950년) 등 대부분 여대가 설립된 시기를 봐도 알 수 있다.
여대의 존폐를 두고 사회적으로 논의가 시작된 건 20여 년 전부터다. 여학생의 대학 진학률이 남학생을 앞서면서다. 특히, 학령인구 급감과 맞물리며 여대의 역할과 존재 가치에 대한 의문은 확대됐다. 사실상 여성의 '사회적 힘'이 커진 상황도 이를 뒷받침 했다.
그럼에도 여전히 여대의 존재 가치에는 지지하는 입장이다. 아직은 사회 곳곳에 여성 차별 문제가 잔존하고 있고, 여대가 여성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공간으로 기능한다는 의견도 일리가 있다. 그간 여대가 여성 지도자로서 교육받을 공간으로 역할을 해왔음에도 사회적 이견이 없다. 여대생들이 "들고 일어나기에" 그 이유가 충분하단 의미다.
하지만 시위 방법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지난해 서이초 교사 사건 당시, 여의도에서 열린 '교원 총궐기 추모 집회'에서 교사들은 질서정연한 모습을 보였다. '교사의 죽음'과 '교권 추락'에 대해 당국에 관련 사건 조사를 촉구하기 위한 자리였다. '열 맞춘 바둑돌 같다'라는 표현마저 곳곳에서 나왔다. 집회에 출동했던 경찰들마저 '선생님들 집회 응원한다'며 이례적인 응원을 보내기도 했다.
"펜은 칼보다 강하다". 사고·언론·저술·정보의 전달은 직접적인 폭력보다 사람들에게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환유한 말이다. '시위'는 쉬이 '칼'로 비유되기도 하지만, 지난 서이초 교사 관련 집회 당시 질서정연했던 교사들의 집회 모습은 '펜'의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번 여대 시위는 (자신의 정당한 권리를 지키기 위한 집회였음에도 불구하고) '칼'에 그쳤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여대생들이 자신의 대학과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안전한 방법으로 의견을 개진해 더욱 강렬한 설득력을 발휘하길 기대해 본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