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은행의 장애인 고용 미달, 과연 이득일까

상명대학교에서 경복궁역으로 향하는 7016번 버스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탄다. 얼핏 생각해보면 '대학생이 많이 타겠지' 라는 생각이 들겠지만 아니다. 등하교 시간을 제외한 나른한 오후, 신교동에선 청각장애인과 시각장애인도 그 못지 않게 탄다. 국립 맹학교와 농학교에서 수업을 마친 이들이 일반버스로 하교하는 것이다.

 

종로구에서 지내는 몇년간 가장 많이 바뀐점을 꼽으라면 눈과 귀가 기민해졌다는 사실이다. 골목 뒷켠에서 들리는 시각장애인의 흰지팡이(White Cane) 소리에 길을 비킬 수 있게 됐고, 흰지팡이 소리로 거리를 파악해 횡단보도 음향신호기도 누를 수 있게 됐다. 버스 뒷자리에 청각장애인 4명이 앉아 있으면 비집고 들어가지 않는다. 수화로 대화하기엔 뒷자리는 4명으로도 비좁을 수 있어서다.

 

최근 국감자료를 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시중은행의 상반기 장애인 고용률은 1.33%로 집계됐다. 의무고용률인 3.1%보다 절반 가량 떨어진 수치다.

 

은행의 이유는 한결같다. 금융업의 경우 전문성이 높고, 금융소비자와 대면해야 하기 때문에 장애인은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우리 주변에 장애인은 많다. 2023년 기준 등록 장애인은 우리나라 인구의 5%에 불과하지만, 등록장애인 수준의 권리를 갖는 인구는 264만명, 장애인과 평균지능에 못미치는 경계성지능인은 699만명이다. 우리나라 인구 5명중 1명은 장애 인지상 어려움을 갖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고령인구가 증가하면서 잠재적 장애인구도 증가하는 추세다. 우리나라는 곧 65세 이상인구가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나의 눈과 귀가 기민해질 수 있던 이유는 하나다. 장애인들과 자주 접하고 있어서다. 그들의 삶과 섞이지 않는 한 그들의 금융생활도, 실질적 불편함도 제대로 알 수 없다.

 

영국 장애인가구를 조사한 퍼플은 "장애가구의 소비력을 과소평가해 기회를 놓치고 있다"며 "기업에겐는 장애인을 고용해 욕구를 반영한 상품이 수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했다.

 

은행이 장애인 고용시 우려했던 금융소비자와의 대면은 비대면으로 바뀌고 있고, 잠재적 장애인을 포함한 장애인 비중은 늘어가는 추세다. 흐름이 바뀌고 있다. 매년 40억원의 부담금을 내기보다 장애인 고용을 통해 미래 먹거리를 찾는 은행들이 많아지길 바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