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숏폼' 인기에 네카오 등 토종 플랫폼 '차별화 전략'

글로벌 플랫폼, AI 기반 알고리즘으로 시장 선도
유튜브 등 1인당 월평균 52시간 사용
토종 플랫폼, 지역성·맞춤형 콘텐츠로 승부수
네이버, '클립탭'으로 빠른 숏폼 소비 전략
카카오, 큐레이션 기반 맞춤형 서비스

코파일럿에 의해 생성된 '글로벌 플랫폼뿐만 아니라,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토종 플랫폼들도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숏폼 시장에 본격적으로 집중하는 모습을 담은 AI 이미지

숏폼 콘텐츠의 인기가 글로벌 플랫폼을 중심으로 높아지면서,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토종 플랫폼들도 차별화 전략을 내세워 본격적으로 숏폼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9일 <메트로경제> 취재에 따르면, 숏폼 콘텐츠를 주력으로 삼은 숏폼 콘텐츠를 주력으로 삼은 글로벌 플랫폼들은 국내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입지를 넓히고 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등 숏폼 앱의 1인당 월평균 사용시간은 52시간2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넷플릭스와 쿠팡플레이, 티빙, 디즈니플러스 등 OTT 앱의 1인당 평균 사용 시간인 7시간17분보다 7배 이상 높은 수치다. 특히, 유튜브는 월평균 사용시간이 41시간 56분으로 숏폼과 OTT앱을 통틀어 가장 오래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틱톡 17시간16분, 인스타그램 15시간56분, 넷플릭스 6시간17분으로 그 뒤를 이었다.

 

글로벌 플랫폼의 이러한 선두 요인으로 이들이 '숏폼 콘텐츠'를 주력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틱톡,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는 모두 인공지능(AI) 기반 알고리즘을 활용해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내 토종 플랫폼들도 자신들만의 '차별화'된 전략을 내세워 숏폼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달 '클립탭'을 신설하며 숏폼 시장 공략에 나섰다. 클립탭은 짧고 강렬한 콘텐츠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기능으로, 이용자들이 쉽고 빠르게 다양한 숏폼 영상을 즐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카카오는 지난 3월 자사 포털 '다음'에 '숏폼' 탭을 새롭게 추가하며 숏폼 콘텐츠 시장에 발을 들였다. 카카오 관계자는 "향후 숏폼 탭과 '카카오뷰'를 결합해 사용자가 더 직관적이고 맞춤형으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카카오뷰는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 큐레이션을 할 수 있는 서비스다.

 

카카오 관계자는 "숏폼 콘텐츠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카카오 역시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숏폼 관련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중고 거래 플랫폼 당근은 지난해 11월 지역 기반 숏폼 콘텐츠인 '당근 스토리'를 선보였다. 당근 스토리는 사용자가 자신의 지역에서 일어나는 소식과 생활 정보를 짧은 영상으로 공유하는 플랫폼이다.

 

당근 관계자는 "당근 스토리는 이웃 간의 소통을 활성화시키고 지역성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면서 "당근 스토리는 사용자들이 일상에서 접하는 정보를 짧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공유할 수 있어 호응이 크다"고 전했다. 이어 "현재 서울에서 시범 운영 중이지만 향후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